<앵커>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온다면, 내년도 의대 정원을 동결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죠. 일단 고려대와 연세대 등의 등록시한이 마감됐는데, 예상보다 더 많은 의대생들이 '복귀'를 선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자세한 내용, 정성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어제(21일)부로 복귀 시한이 종료된 곳은 연세대 서울과 원주 의과대학, 고려대, 경북대 의과대학, 차의과대 의학전문대학원 등 5곳입니다.
연세대 의대 관계자는 절반 정도가 복학 신청을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700여 명의 의대생 중 300명 넘게 등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고려대 역시 연세대와 비슷한 수준으로 상당수가 복귀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복귀 시 제적 처리하겠다는 교육부와 대학의 압박에 우선 등록 절차를 밟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25학번과 함께 수업을 듣는 24학번은 제적 이후 재입학이 어렵다는 점이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입니다.
[A 씨/의대 본과생 : 24학번 학생들의 많은 동요가 있었고요. 제적이 되고 나서 1학년(25학번)이 그대로 꽉 차 있으니까 24학번이 돌아올 길이 없습니다.]
전국 의과대학들은 학칙대로 처리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전국 40개 의과대학 중 35곳은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를 모두 반려 처리했고, 나머지 5곳도 다음 주 중 모든 휴학계를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음 주 대부분 의대의 복귀 시한 마감이 다가오는 상황에서 의대생들의 동요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상당수 의대생이 복귀하더라도 의대생과 학교, 정부와의 갈등은 더 심화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복귀한 학생들 역시 수업 거부에 동참할 가능성이 있고,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처리가 진행될 경우 학생과 일부 교수, 의료계의 집단 반발이 예상됩니다.
[박평재/고려대 의대 교수 비대위원장 : 정부의 그런 강압적인, 폭압적인 그런 행태에 대해서는 비난을 하고 투쟁을 할 생각입니다.]
의대생 복귀와 제적, 의대 증원 문제를 둘러싸고 이달 말이 의정갈등의 또 다른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편집 : 김준희)
정성진 기자 captain@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의대생들이 학교로 돌아온다면, 내년도 의대 정원을 동결한다는 게 정부 방침이죠. 일단 고려대와 연세대 등의 등록시한이 마감됐는데, 예상보다 더 많은 의대생들이 '복귀'를 선택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자세한 내용, 정성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어제(21일)부로 복귀 시한이 종료된 곳은 연세대 서울과 원주 의과대학, 고려대, 경북대 의과대학, 차의과대 의학전문대학원 등 5곳입니다.
연세대 의대 관계자는 절반 정도가 복학 신청을 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습니다.
고려대 역시 연세대와 비슷한 수준으로 상당수가 복귀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복귀 시 제적 처리하겠다는 교육부와 대학의 압박에 우선 등록 절차를 밟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특히, 25학번과 함께 수업을 듣는 24학번은 제적 이후 재입학이 어렵다는 점이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 의과대학들은 학칙대로 처리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전국 40개 의과대학 중 35곳은 의대생들이 낸 휴학계를 모두 반려 처리했고, 나머지 5곳도 다음 주 중 모든 휴학계를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음 주 대부분 의대의 복귀 시한 마감이 다가오는 상황에서 의대생들의 동요는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복귀한 학생들 역시 수업 거부에 동참할 가능성이 있고,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처리가 진행될 경우 학생과 일부 교수, 의료계의 집단 반발이 예상됩니다.
[박평재/고려대 의대 교수 비대위원장 : 정부의 그런 강압적인, 폭압적인 그런 행태에 대해서는 비난을 하고 투쟁을 할 생각입니다.]
의대생 복귀와 제적, 의대 증원 문제를 둘러싸고 이달 말이 의정갈등의 또 다른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성진 기자 captain@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