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01 (화)

'정부 사칭 전자문서' 클릭하면 악성코드 노출..소비자 주의보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 사칭 피싱메일 및 미끼문서 예시. 금융보안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북한 해킹조직의 악성코드 위협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가산자산 관련 문서로 위장한 형태의 범죄도 다발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금융보안원은 12일 개인·금융정보를 노리는 국가배후 해킹조직의 악성코드 위협이 지속되고 있다며, 금융회사 및 금융소비자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특히 가상자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가상자산 관련 정교한 공격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금융당국의 가상자산 관련 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이용해 가상자산에 관심 있는 금융소비자의 정보를 탈취하고 단말기를 장악하거나 가상자산거래소 직원을 표적으로 하는 식이다.

금융보안원에 따르면 국가배후 해킹조직은 금융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공격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공격 대상에 특화된 지능적·표적화 침투 기법을 활용한다.

대표적으로 금융당국의 가상자산 관련 문서로 위장한 바로가기(.LNK) 파일 또는 공격 스크립트가 담긴 문서 파일이 첨부된 피싱메일을 발송해 악성코드 설치를 유도한다.

설치된 악성코드는 미끼 문서를 출력해 피해자의 의심을 회피하고, 클라우드 저장소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한다. 또 원격제어 도구 등을 설치해 지속적인 악성행위를 수행한다.

이는 지속적 정보 수집 및 표적 네트워크의 감시를 통한 기밀 탈취, 자금 확보 및 사이버 첩보 활동 등 전략적 이익 강화가 목적으로 보인다는 게 금융보안원의 설명이다.

금융보안원은 "금융권을 표적으로 하는 침해위협 및 악성코드를 수집·분석하고 그 결과를 금융회사 및 유관기관에 신속히 공유함으로써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금융소비자는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열람 및 첨부파일 실행을 삼가고 정부기관이나 금융회사를 사칭한 메시지에 주의하는 등 기본적인 보안수칙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특히 가상자산거래소는 국가배후 해킹조직의 가상자산 탈취 등 위협이 증가하고 있어 안전성 및 보안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상원 금융보안원장은 "나날이 정교해지는 국가배후 해킹조직의 표적 공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금융권의 침해위협 분석대응 역량을 한층 강화해야 한다"며 "금융보안원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금융권 위협을 분석하고 해킹조직의 공격전술 및 악성코드 패턴을 연관 분석하는 등 변화하는 사이버 위협에 철저히 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