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사다난했던 2024년의 끝자락, 하늘만큼은 고요하고 맑게 한 해를 배웅할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 해넘이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선명하게 감상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김병권 / 기상청 예보분석관 : 31일 화요일은 전국이 새벽까지 구름 많다가 점차 맑아지며 대부분 지역에서 해넘이를 볼 수 있겠습니다. 전라권과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는 구름 사이로 해를 볼 수 있겠습니다.]
2024년 마지막 해는 오후 5시 5분, 독도에서 가장 먼저 저물기 시작합니다.
이어 서울 5시 24분, 태안 만리포 5시 29분, 진도 세방낙조 5시 35분에, 그리고 신안 가거도에서 5시 40분에 마지막으로 해가 저물 예정입니다.
푸른 뱀의 해, 2025년 첫날, 동해에서는 맑은 하늘 아래 첫해를 맞이할 수 있겠습니다.
[우진규 / 기상청 통보관 : 구름의 짙어짐과 일부 아침에 생기는 지역적인 안개라든지 여러 가지 변수들은 있지만, 대체로 고기압 영향권에서 다소 구름이 끼기 어려운 상태라는 점….]
새해 첫 해돋이 역시 독도에서 오전 7시 26분에 가장 먼저 볼 수 있습니다.
내륙에서는 울산 간절곶이 5분 뒤인 7시 31분, 포항 호미곶 7시 32분, 강릉 정동진 7시 39분, 서울에서는 7시 47분에 2025년 첫해가 떠오를 전망입니다.
하지만 일부 내륙 지역에서는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 속에서 체감온도는 더 낮을 것으로 보여 해넘이나 해돋이를 직접 보려면 방한복으로 체온 관리를 해야 합니다.
YTN 김민경입니다.
영상편집 | 박정란
디자인 | 전휘린
자막뉴스 | 이선 안진영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마지막 해넘이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선명하게 감상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김병권 / 기상청 예보분석관 : 31일 화요일은 전국이 새벽까지 구름 많다가 점차 맑아지며 대부분 지역에서 해넘이를 볼 수 있겠습니다. 전라권과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는 구름 사이로 해를 볼 수 있겠습니다.]
2024년 마지막 해는 오후 5시 5분, 독도에서 가장 먼저 저물기 시작합니다.
이어 서울 5시 24분, 태안 만리포 5시 29분, 진도 세방낙조 5시 35분에, 그리고 신안 가거도에서 5시 40분에 마지막으로 해가 저물 예정입니다.
푸른 뱀의 해, 2025년 첫날, 동해에서는 맑은 하늘 아래 첫해를 맞이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서쪽 지역은 드문드문 흩어진 구름 사이로 해돋이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우진규 / 기상청 통보관 : 구름의 짙어짐과 일부 아침에 생기는 지역적인 안개라든지 여러 가지 변수들은 있지만, 대체로 고기압 영향권에서 다소 구름이 끼기 어려운 상태라는 점….]
새해 첫 해돋이 역시 독도에서 오전 7시 26분에 가장 먼저 볼 수 있습니다.
내륙에서는 울산 간절곶이 5분 뒤인 7시 31분, 포항 호미곶 7시 32분, 강릉 정동진 7시 39분, 서울에서는 7시 47분에 2025년 첫해가 떠오를 전망입니다.
연말과 새해 초, 추위의 기세가 한풀 꺾이면서 전국적으로 예년 수준의 겨울 추위가 예상됩니다.
하지만 일부 내륙 지역에서는 영하 10도 안팎의 추위 속에서 체감온도는 더 낮을 것으로 보여 해넘이나 해돋이를 직접 보려면 방한복으로 체온 관리를 해야 합니다.
YTN 김민경입니다.
영상편집 | 박정란
디자인 | 전휘린
자막뉴스 | 이선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