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탄핵 통과 안 되게 노력"…이탈표 우려에 표결 단체 불참도 검토
친윤 "대통령 탈당하면 탄핵 못 막아" 반대에도 韓 탈당 요구 관철 의지
최고위원 발언 경청하는 한동훈 대표 |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최평천 기자 = 국민의힘이 '비상계엄 사태'와 그 후폭풍으로 조성된 '탄핵 정국'의 돌파구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야당이 거세게 몰아붙이는 '대통령 탄핵 공세'에는 당론 반대로 입장을 정했지만, 윤석열 대통령 탈당 요구에 대해선 친윤(친윤석열)계 등 당내 반대에도 한동훈 대표가 관철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한 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대표로서 이번 탄핵은 준비 없는 혼란으로 인한 국민과 지지자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탄핵에 대한 입장을 묻자 "그런 질문에 하나하나 대답해드리지 않겠다"고 답했던 것과 비교해보면 심야 의원총회에서 결정된 '탄핵 반대 당론'에 보조를 맞춘 셈이다.
2016년 당시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보수 세력이 사분오열돼 한동안 암흑기를 보내야 했던 쓰린 기억이 계파를 막론하고 작용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한 대표 측에서는 현직 대통령 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이 차기 여권 주자의 대권 가도에 자칫 치명적인 악재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엿보인다.
그러나 자칫 모를 당내 이탈표에 대한 우려도 없지 않다. 대통령 탄핵 표결은 무기명 방식이라 누가 찬성표를 던졌는지 드러나지 않는다.
대통령 탄핵 가결에는 재적의원 300명 기준 200명의 찬성이 필요하다. 현재 범야권 의석(192석)을 감안하면 재적의원 전원 출석을 가정했을 때 국민의힘 의원 8명만 기표소에서 '가(可·찬성)'를 적어 투표함에 넣을 경우 가결된다.
지난 10월 '김 여사 특검법'과 '채상병 특검법' 재표결 당시에도 예상을 깨고 최대 4표의 이탈표가 나와 작지 않은 파장이 일기도 했다.
지금은 그때보다 '계엄 사태'에 따른 여론 상황이 훨씬 엄중하다는 점에서 윤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나 지지율 흐름 등 변수에 따라 결과를 장담할 수 없게 만드는 대목이다.
고심하는 한동훈 대표 |
대통령 자진 사퇴를 요구하고 있는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탄핵 반대 당론에 대해 "지금 많은 분이 좀 격앙된 상황에서 과연 그게 그대로 지켜질 것인가"며 "(이탈표) 가능성이 어느 정도 높아 보이니까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당 지도부는 아예 탄핵 표결 때 본회의에 단체로 불참해 투표를 원천 봉쇄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이날 새벽 끝난 의원총회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본회의장에서 반대 또는 무효투표를 하거나 투표를 포기하는 등 윤 대통령 탄핵안 부결을 관철할 방식에 대해 "표결 날짜가 정해지면 그 직전에 의총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 탄핵과 달리 대통령 탈당 요구에 대해선 친한(친한동훈)계와 친윤계의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다.
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대표로서 대통령의 탈당을 다시 한번 요구한다"며 "제가 책임지고 앞장서서 이 사태를 수습하겠다"고 말했다.
친한계에서는 대통령이 자진 탈당하지 않을 경우 제명·출당도 검토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친윤계에선 대통령 탈당은 곧 탄핵으로 이어진다고 우려한다. 임기 중반 대통령이 탈당한 전례도 없거니와 당적을 버린 대통령을 향한 야당의 공세를 여당이 막아주기 어렵다는 인식이다.
한 친윤계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대통령이 탈당하면 우리가 여당이 아닌데 탄핵을 막을 명분이 없다"며 "탄핵을 막겠다면서 탈당을 요구하는 것은 앞뒤가 안 맞다"고 지적했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소셜미디어(SNS)에 "민주당과 맞서 싸우고 난제들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어떤 선택보다도 가장 중요하고 소중한 것은 당의 단합"이라며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당이 분열하는 것보다는 낫다"고 썼다.
geei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