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6 (목)

"도서관 수준" 층간소음 잡기 경쟁…규제는 '하세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이웃 간 살인으로까지 이어질 만큼, 층간소음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자 정부가 규제강화를 예고했었습니다. 이에 맞춰 건설사들이 층간소음 잡기 위한 기술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정작 정부 정책에 속도가 나지 않고 있습니다.

노동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아파트 거실을 그대로 옮겨놓은 연구 공간에 장비가 펼쳐집니다.

건설사의 층간소음 시험 현장입니다.

가벼운 망치를 놓치듯 바닥을 규칙적으로 두드리고, 무게 2.5kg짜리 공도 떨어뜨려 봅니다.

3분 평균 40dB(데시벨) 초반, 정부 층간소음 4등급 기준 보다 20% 정도 낮게 측정됐습니다.

[이상준/GS건설 건축기술연구센터장 : (완충재가) 한 가지 소재가 아니라 굉장히 복잡한, 복합적으로 들어가거든요. 기존에 저희가 원하는 완충재가 없어서 저희가 그 설계를 직접 해 별도 제작했습니다.]

층간소음 저감 기술의 핵심은 바닥 설계에 있습니다.

콘크리트 슬래브와 장판이나 마루 같은 마감재 사이에 뭐를 채워 넣느냐가 관건입니다.

건설사마다 특수 소재를 적용한 완충재를 까는 것은 기본, 모르타르 층 수와 두께를 달리해 소음은 줄이되 시공 비용과 내구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게 목적입니다.

이 건설사는 최근 소음차단이 잘되는 고성능 복합소재를 단순한 구조로 쌓아 1등급 바닥의 '비싼 원가'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전달되는 진동을 빠르게 분산시키려 진동절연패드를 배치한 게 주효했습니다.

[김종호/DL이앤씨 차장 : 좋은 기술이 있어도 비싸서 고객이 못 쓰겠다고 하면 소용이 없기 때문에, 원가를 낮추면서도 도서관 소음 수준을 유지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말, 정부가 소음 검사를 통과해야 준공 승인을 해주겠다는 대책을 발표하면서, 규제 대비 차원에서 건설사간 바닥 기술 개발 경쟁이 더 치열해졌습니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중 제출하겠다던 정부의 관련 법 개정안은 1년 가까이 아직도 '준비 중'이기만 한 상황.

[권대중/서강대 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 : 개발해 놓고 입법을 하지 못해서 적용 못 하는 사례도 있을 수 있어요. 정부 입법이 빨리 이뤄져야 업계에서도 적용하고 생활환경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 될 거라고 봐요.]

급한 대로 내놨던 저감매트 설치 비용 융자 등 정부 지원 사업도, 실효성이 떨어지다 보니 예산 집행 실적은 저조합니다.

(영상취재 : 한일상, 영상편집 : 남일·이상민, 디자인 이준호·이예지)

노동규 기자 laborstar@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