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특별감찰관 추진' 두고 내홍 격화
당 대표 권한 두고 이견…친윤·친한계로 갈등 확산
박정희 추도식…한동훈 변화·추경호 통합 강조
[앵커]
국민의힘은 특별감찰관 추진을 두고 친한계와 친윤계 내홍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한동훈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이견 노출 이후 처음 나란히 공식행사에 참석했습니다.
민주당은 국정감사 막바지까지 김 여사를 정조준하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리는 모양새입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인용 기자!
여당 분위기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네, 여당은 대통령 친인척 등을 관리·감찰하는 특별감찰관 추진을 둘러싸고 내부 갈등이 좀처럼 정리되지 않는 모습입니다.
갈등은 한동훈 대표가 김건희 여사에 대한 국민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힌 뒤,
여기에 한 대표가 다시 당 대표는 당무를 총괄한다고 반박하고, 친윤계와 친한계가 설전을 벌이며 불길은 더 번졌습니다.
논란이 불거진 이후 처음으로 함께 참석한 공개일정인 박정희 전 대통령 추도식에서도 한 대표는 변화를, 추 원내대표는 상대적으로 통합에 방점을 찍었는데요, 발언 들어보시죠.
[한동훈 / 국민의힘 대표 : 박정희 전 대통령께서 도전 정신과 애국심으로 변화와 쇄신을 이끄셨습니다. / 저도 우리 국민의힘도 변화와 쇄신의 길로 가겠습니다.]
친한계는 김건희 여사에 대한 민심을 다독이기 위해 특별감찰관 임명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인데요,
친윤계는 민주당이 북한인권재단 이사를 추천해줘야 특감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게 기존부터 지켜온 당론이라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특감 문제는 국정감사 이후로 예고된 의원총회에서 최우선으로 논의될 전망입니다.
[앵커]
민주당 상황도 알아보죠,
남은 국정감사에서도 김건희 여사 의혹을 집중적으로 파고들 전망이죠?
[기자]
네, 지난 7일부터 시작된 국정감사는 운영위 등 겸임 상임위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종료됐습니다.
특히 국감이 끝난 직후인 다음 주 토요일에는 김 여사를 규탄하는 범국민 집회를 열어 대국민 여론전에도 나서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또 국감에서 불거진 의혹까지 총망라해 발의한 김 여사 특검법을 다음 달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시킬 거라고 압박의 고삐를 조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대표는 오늘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과 의료 공백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비공개로 만났습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회동은 1시간 반 정도 이어졌고,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라는 입장에 변화가 없음을 박 위원장이 분명히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대표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해야 한다고 공감을 표하며 정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고 조 수석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
이 대표는 박 위원장 회동 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비슷한 입장을 나타냈는데요.
함께 들어보겠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대화가 어떻게든 시작돼야 되는데 전공의들 입장이 매우 중요한 것 같습니다. 특정 의제를 제외하면 대화에 참여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앞서 대한의학회 등이 협의체 참여 의사를 밝힌 가운데 국민의힘은 다음 주 협의체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직 야당은 협의체가 대한의사협회와 전공의단체 참여를 전제로 가동돼야 한단 입장인데, 이 대표와 박 위원장 만남이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정인용입니다.
YTN 정인용 (quoteje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YTN star 조각퀴즈 이벤트 2탄 참여하기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국민의힘은 특별감찰관 추진을 두고 친한계와 친윤계 내홍이 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한동훈 대표와 추경호 원내대표가 이견 노출 이후 처음 나란히 공식행사에 참석했습니다.
민주당은 국정감사 막바지까지 김 여사를 정조준하며 공세 수위를 끌어올리는 모양새입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인용 기자!
여당 분위기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네, 여당은 대통령 친인척 등을 관리·감찰하는 특별감찰관 추진을 둘러싸고 내부 갈등이 좀처럼 정리되지 않는 모습입니다.
갈등은 한동훈 대표가 김건희 여사에 대한 국민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힌 뒤,
추경호 원내대표가 특감 문제는 원내 사안이라고 선을 그으면서 더 커지는 모양새입니다.
여기에 한 대표가 다시 당 대표는 당무를 총괄한다고 반박하고, 친윤계와 친한계가 설전을 벌이며 불길은 더 번졌습니다.
논란이 불거진 이후 처음으로 함께 참석한 공개일정인 박정희 전 대통령 추도식에서도 한 대표는 변화를, 추 원내대표는 상대적으로 통합에 방점을 찍었는데요, 발언 들어보시죠.
[한동훈 / 국민의힘 대표 : 박정희 전 대통령께서 도전 정신과 애국심으로 변화와 쇄신을 이끄셨습니다. / 저도 우리 국민의힘도 변화와 쇄신의 길로 가겠습니다.]
[추경호 / 국민의힘 원내대표 : 민생, 안보 그리고 평화통일, 그리고 무엇보다도 우리 국민의 단결 통합을 위해서 더 많은 일을 해야 되겠다 이런 생각입니다.]
친한계는 김건희 여사에 대한 민심을 다독이기 위해 특별감찰관 임명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인데요,
친윤계는 민주당이 북한인권재단 이사를 추천해줘야 특감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는 게 기존부터 지켜온 당론이라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특감 문제는 국정감사 이후로 예고된 의원총회에서 최우선으로 논의될 전망입니다.
의원총회 시기와 의사결정 방식을 놓고도 계파 간 이견이 계속되고 있는데, 표 대결을 통해 최종결정이 내려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앵커]
민주당 상황도 알아보죠,
남은 국정감사에서도 김건희 여사 의혹을 집중적으로 파고들 전망이죠?
[기자]
네, 지난 7일부터 시작된 국정감사는 운영위 등 겸임 상임위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종료됐습니다.
민주당은 다음 주 막바지 국감에서도 공천 개입과 대통령 관저 공사 등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집중 공략한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국감이 끝난 직후인 다음 주 토요일에는 김 여사를 규탄하는 범국민 집회를 열어 대국민 여론전에도 나서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또 국감에서 불거진 의혹까지 총망라해 발의한 김 여사 특검법을 다음 달 14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시킬 거라고 압박의 고삐를 조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재명 대표는 오늘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과 의료 공백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비공개로 만났습니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에서 회동은 1시간 반 정도 이어졌고,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라는 입장에 변화가 없음을 박 위원장이 분명히 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대표도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논의해야 한다고 공감을 표하며 정부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고 조 수석대변인은 덧붙였습니다.
이 대표는 박 위원장 회동 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비슷한 입장을 나타냈는데요.
함께 들어보겠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대화가 어떻게든 시작돼야 되는데 전공의들 입장이 매우 중요한 것 같습니다. 특정 의제를 제외하면 대화에 참여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앞서 대한의학회 등이 협의체 참여 의사를 밝힌 가운데 국민의힘은 다음 주 협의체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직 야당은 협의체가 대한의사협회와 전공의단체 참여를 전제로 가동돼야 한단 입장인데, 이 대표와 박 위원장 만남이 변수로 작용할지 주목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YTN 정인용입니다.
YTN 정인용 (quotejeo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YTN star 조각퀴즈 이벤트 2탄 참여하기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