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저비용 항공사 승무원 수백 명이, '건강 이상'이 있어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단거리 노선 비중이 높다고 해서, 방사선 피폭 위험이 없는 게 아니라는 건데요.
손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지난 2022년, 당시 23년 차 베테랑 승무원이었던 이현진 씨는 뜻밖의 진단을 받았습니다.
종종 미주나 유럽 등 장거리 노선에 투입돼 일해왔던 터라, 우주방사선 피폭에 의한 발병이 의심스러웠고, 근로복지공단은 업무상 재해임을 인정했습니다.
[이현진/대한항공 승무원]
"2022년 초부터 조금 안 좋았었는데요. 진단받고 수술받고... 그 이후에 산재 받기까지 한 1년 반 정도 2년 정도 걸린 것 같아요."
이 씨처럼 지난 2021년부터 최근까지 암 등의 질병으로 산재를 인정받은 조종사와 승무원은 11명에 달하며 대부분 '우주방사선 과다 노출'이 인정됐습니다.
원자력안전재단이 지난해 제주항공과 티웨이 등 저비용 항공사 조종사와 승무원에 대해 혈액 검사를 진행해 보니 529명이 재검이나 추적 관찰 등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온 겁니다.
검사에서 빠진 항공사들을 포함하면 실제로는 더 많을 걸로 보입니다.
비교적 단거리 노선 비중이 높은 저비용 항공사 근로자들도 방사선 피폭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이야기입니다.
2021년 항공사들은 승무원의 방사능 누적 노출량 허용 기준을 5년간 100밀리시버트에서 연간 6밀리시버트로 대폭 낮췄지만 평균 0.49밀리시버트인 원전 종사자보다는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이준석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6밀리시버트 이하는 안전하다고 이야기하지만 실제 건강문제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통계도 있기 때문에 10년, 20년간 장기 노출됐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느냐 이런 것들은 예산을 들여서라도 꼭 살펴봐야 되는 부분이다‥."
항공사들은 "북극 항로 등을 통과해 방사선 노출이 심한 장거리 노선 근무를 제한하는 등 피폭량을 관리하고 있다"며 추가적으로 개선책을 마련할 계획이 당장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이준하 독고명 김백승 / 영상편집: 문명배
자료제공: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이준하 독고명 김백승 / 영상편집: 문명배 손구민 기자(kmsoh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저비용 항공사 승무원 수백 명이, '건강 이상'이 있어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단거리 노선 비중이 높다고 해서, 방사선 피폭 위험이 없는 게 아니라는 건데요.
손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지난 2022년, 당시 23년 차 베테랑 승무원이었던 이현진 씨는 뜻밖의 진단을 받았습니다.
유방에 악성 종양, 즉 암이 발견된 겁니다.
종종 미주나 유럽 등 장거리 노선에 투입돼 일해왔던 터라, 우주방사선 피폭에 의한 발병이 의심스러웠고, 근로복지공단은 업무상 재해임을 인정했습니다.
[이현진/대한항공 승무원]
"2022년 초부터 조금 안 좋았었는데요. 진단받고 수술받고... 그 이후에 산재 받기까지 한 1년 반 정도 2년 정도 걸린 것 같아요."
이 씨처럼 지난 2021년부터 최근까지 암 등의 질병으로 산재를 인정받은 조종사와 승무원은 11명에 달하며 대부분 '우주방사선 과다 노출'이 인정됐습니다.
그런데 실상은 더 심각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원자력안전재단이 지난해 제주항공과 티웨이 등 저비용 항공사 조종사와 승무원에 대해 혈액 검사를 진행해 보니 529명이 재검이나 추적 관찰 등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온 겁니다.
검사에서 빠진 항공사들을 포함하면 실제로는 더 많을 걸로 보입니다.
비교적 단거리 노선 비중이 높은 저비용 항공사 근로자들도 방사선 피폭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저비용 항공사 노조 관계자는 "인력도 적은 데다 단거리 노선은 그만큼 비행 횟수도 더 잦다"면서도 "사측에 인력을 더 뽑아달라고 나서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2021년 항공사들은 승무원의 방사능 누적 노출량 허용 기준을 5년간 100밀리시버트에서 연간 6밀리시버트로 대폭 낮췄지만 평균 0.49밀리시버트인 원전 종사자보다는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이준석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6밀리시버트 이하는 안전하다고 이야기하지만 실제 건강문제와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통계도 있기 때문에 10년, 20년간 장기 노출됐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느냐 이런 것들은 예산을 들여서라도 꼭 살펴봐야 되는 부분이다‥."
항공사들은 "북극 항로 등을 통과해 방사선 노출이 심한 장거리 노선 근무를 제한하는 등 피폭량을 관리하고 있다"며 추가적으로 개선책을 마련할 계획이 당장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손구민입니다.
영상취재: 이준하 독고명 김백승 / 영상편집: 문명배
자료제공: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이준하 독고명 김백승 / 영상편집: 문명배 손구민 기자(kmsoh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