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발 자유화 토론을 했더니, '두발'이 '두 다리'인 줄 알았다는 학생, '시장이 반찬'이라는 말을 '시장에 가면 반찬이 많다'라고 해석한 학생, '사건의 시발점'이라고 했더니, 선생님이 왜 욕을 하냐고 묻는 학생, 교사들이 꼽은 대표적인 문해력 저하 사례들입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달 말 교사 5천800여 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더니, 교원의 91.8%는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보다 떨어졌다"고 답했습니다.
문해력 저하 원인으로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 과다 사용이 36.5%, 독서 부족 29.2% 어휘력 부족 17.1% 등이 꼽혔습니다.
절대적으로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 규모도 상당했습니다.
교사의 17.6%는 학생 10명 중 3명 이상이 글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했고 19.5%는, 학생 10명 중 3명 이상이 해당 학년보다 문해력이 떨어진다고 답했습니다.
디지털 매체를 주로 쓰면서 학생들은 손글씨 쓰는 것에도 서툰 걸로 나타났습니다.
교총은 "우리나라의 문맹률이 낮지만, 이것이 문해력 높단 뜻은 아니"라면서 학생들의 문해력을 높이기 위해 국가 차원의 진단과 분석부터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취재 : 권지윤, 영상편집 : 원형희,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권지윤 기자 legend8169@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달 말 교사 5천800여 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했더니, 교원의 91.8%는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보다 떨어졌다"고 답했습니다.
문해력 저하 원인으로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 매체 과다 사용이 36.5%, 독서 부족 29.2% 어휘력 부족 17.1% 등이 꼽혔습니다.
절대적으로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 규모도 상당했습니다.
교사의 17.6%는 학생 10명 중 3명 이상이 글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했고 19.5%는, 학생 10명 중 3명 이상이 해당 학년보다 문해력이 떨어진다고 답했습니다.
디지털 매체를 주로 쓰면서 학생들은 손글씨 쓰는 것에도 서툰 걸로 나타났습니다.
교사의 94%는 학생들의 필체를 알아보기가 예전보다 힘들어졌다고 응답했습니다.
교총은 "우리나라의 문맹률이 낮지만, 이것이 문해력 높단 뜻은 아니"라면서 학생들의 문해력을 높이기 위해 국가 차원의 진단과 분석부터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취재 : 권지윤, 영상편집 : 원형희,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권지윤 기자 legend8169@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