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SBS 단독보도로 8시 뉴스 시작합니다. 거액의 미정산 사태로 수사를 받고 있는 구영배 큐텐 대표 등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서 내용을 저희가 취재했습니다. 구 대표는 올해 7월에서야 미정산 사태를 보고받았다고 해명해 왔는데, 적어도 1년 전부터는 큐텐 경영진이 이 상황을 알고 있었다는 게 검찰 판단입니다.
먼저 여현교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7월 30일 국회에 출석한 구영배 큐텐 대표는 미정산 사태에 대해 최근에야 보고받았다고 말했습니다.
[구영배/큐텐그룹 대표 (지난 7월, 국회 정무위) : 저는 7월 12일 정도에 보고를 받았습니다.]
검찰이 법원에 제출한 구속영장 청구서 내용에 따르면, 큐텐 재무본부장 이 모 씨는 지난해 10월 티몬과 위메프가 판매한 상품권 정산 대금이 지연되자 주변에 '티몬 위메프의 생사가 왔다 갔다 한다'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류화현 위메프 대표 등도 올 초부터는 판매자들에게 정산 대금을 지급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고, 큐텐 재무본부장에게 정산 대금 미지급은 '시스템 장애, 집계 오류 때문이라고 하겠다'며 허위 해명까지 준비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검찰은 구 대표 역시 이러한 상황을 보고받아 알고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구 대표가 애초부터 큐텐 그룹 자금난을 해결하고, 계열사인 큐익스프레스 실적을 부풀려 나스닥에 상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티몬·위메프를 인수했다고도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현재까지 큐텐 관련 횡령 금액은 121억여 원, 티몬·위메프 법인에 끼친 손실은 모두 692억여 원에 이르고 33만여 명이 1조 5천950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고 추산했습니다.
(영상편집 : 김윤성)
<앵커>
2년 전 이미 티몬과 위메프가 경영난에 빠졌을 때, 금융감독원이 주기적으로 보고를 받아왔습니다. 그런데 검찰은 이 과정에서 회사 경영진이 미정산 금액을 10분 1도 안되게 축소하는 등, 수차례 허위자료로 금감원을 속였다고 봤습니다.
이어서 원종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022년 티몬과 위메프가 자본 잠식 상태에 빠지자 경영개선 협약을 맺고 매 분기 보고를 받아왔습니다.
그런데 검찰은 큐텐과, 티몬, 위메프 경영진이 여러 차례 허위 자료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감시와 통제를 회피했다고 구속영장에 적었습니다.
구체적으로 티몬과 큐텐 그룹 경영진이 2022년 말 기준 5천163억여 원에 이르던 미정산 금액을 462억여 원으로 10분의 1 이상 축소 보고했다고 검찰은 밝혔습니다.
또, 금감원이 작년 4월 미정산금을 치를 잔고증명서 제출을 요구하자, 200억 원의 잔고증명서를 내며 '회사 운영자금 계좌와 분리해 관리하겠다'고 소명하고는 다음날, 이 돈을 다른 계좌로 옮겨 별도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미정산 사태가 현실화하기 시작한 올 초에도 거짓 소명은 반복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티몬은 올해 4월 금감원에 큐익스프레스 나스닥 상장 성공에 따른 투자금 500억 원을 유치해 20%를 예치하겠다는 경영개선 계획서를 제출했지만, 검찰은 당시 큐익스프레스의 상장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위메프 또한 2024년 3분기 최대 1천억 원의 신규 투자유치를 하는 내용의 경영개선 계획을 제출했지만, 검찰은 상황 은폐를 위한 고의적 허위보고라고 봤습니다.
이에 대해 위메프 류화현 대표 측은 영장실질심사에서 성실히 소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티몬 류광진 대표 측은 대부분 구 대표 지시를 따랐다며 상당수 결재 문서에 본인 서명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큐텐 구영배 대표 측은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영)
여현교 기자 yhg@sbs.co.kr
원종진 기자 bell@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BS 단독보도로 8시 뉴스 시작합니다. 거액의 미정산 사태로 수사를 받고 있는 구영배 큐텐 대표 등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서 내용을 저희가 취재했습니다. 구 대표는 올해 7월에서야 미정산 사태를 보고받았다고 해명해 왔는데, 적어도 1년 전부터는 큐텐 경영진이 이 상황을 알고 있었다는 게 검찰 판단입니다.
먼저 여현교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7월 30일 국회에 출석한 구영배 큐텐 대표는 미정산 사태에 대해 최근에야 보고받았다고 말했습니다.
[구영배/큐텐그룹 대표 (지난 7월, 국회 정무위) : 저는 7월 12일 정도에 보고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검찰은 큐텐 경영진이 약 1년 전부터는 정산 불능 상태를 알고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검찰이 법원에 제출한 구속영장 청구서 내용에 따르면, 큐텐 재무본부장 이 모 씨는 지난해 10월 티몬과 위메프가 판매한 상품권 정산 대금이 지연되자 주변에 '티몬 위메프의 생사가 왔다 갔다 한다'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류화현 위메프 대표 등도 올 초부터는 판매자들에게 정산 대금을 지급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고, 큐텐 재무본부장에게 정산 대금 미지급은 '시스템 장애, 집계 오류 때문이라고 하겠다'며 허위 해명까지 준비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검찰은 구 대표 역시 이러한 상황을 보고받아 알고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럼에도 구 대표가 티몬과 위메프의 상품권 할인 판매를 계속하도록 지시했고, 티몬·위메프 자금을 대여금 등의 형식으로 큐텐그룹 계열사로 빼돌렸다고 구속영장 청구서에 썼습니다.
검찰은 구 대표가 애초부터 큐텐 그룹 자금난을 해결하고, 계열사인 큐익스프레스 실적을 부풀려 나스닥에 상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티몬·위메프를 인수했다고도 판단했습니다.
검찰은 현재까지 큐텐 관련 횡령 금액은 121억여 원, 티몬·위메프 법인에 끼친 손실은 모두 692억여 원에 이르고 33만여 명이 1조 5천950억 원의 피해를 입었다고 추산했습니다.
(영상편집 : 김윤성)
---
<앵커>
2년 전 이미 티몬과 위메프가 경영난에 빠졌을 때, 금융감독원이 주기적으로 보고를 받아왔습니다. 그런데 검찰은 이 과정에서 회사 경영진이 미정산 금액을 10분 1도 안되게 축소하는 등, 수차례 허위자료로 금감원을 속였다고 봤습니다.
이어서 원종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금융감독원은 지난 2022년 티몬과 위메프가 자본 잠식 상태에 빠지자 경영개선 협약을 맺고 매 분기 보고를 받아왔습니다.
그런데 검찰은 큐텐과, 티몬, 위메프 경영진이 여러 차례 허위 자료를 제출하는 방식으로 감시와 통제를 회피했다고 구속영장에 적었습니다.
구체적으로 티몬과 큐텐 그룹 경영진이 2022년 말 기준 5천163억여 원에 이르던 미정산 금액을 462억여 원으로 10분의 1 이상 축소 보고했다고 검찰은 밝혔습니다.
또, 금감원이 작년 4월 미정산금을 치를 잔고증명서 제출을 요구하자, 200억 원의 잔고증명서를 내며 '회사 운영자금 계좌와 분리해 관리하겠다'고 소명하고는 다음날, 이 돈을 다른 계좌로 옮겨 별도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미정산 사태가 현실화하기 시작한 올 초에도 거짓 소명은 반복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티몬은 올해 4월 금감원에 큐익스프레스 나스닥 상장 성공에 따른 투자금 500억 원을 유치해 20%를 예치하겠다는 경영개선 계획서를 제출했지만, 검찰은 당시 큐익스프레스의 상장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위메프 또한 2024년 3분기 최대 1천억 원의 신규 투자유치를 하는 내용의 경영개선 계획을 제출했지만, 검찰은 상황 은폐를 위한 고의적 허위보고라고 봤습니다.
이에 대해 위메프 류화현 대표 측은 영장실질심사에서 성실히 소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티몬 류광진 대표 측은 대부분 구 대표 지시를 따랐다며 상당수 결재 문서에 본인 서명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큐텐 구영배 대표 측은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영)
여현교 기자 yhg@sbs.co.kr
원종진 기자 bell@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