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퍼스티지 아파트 내부에 설치된 '시비'(詩碑)가 화제의 중심에 섰습니다.
25일 온라인 상에서는 래미안 퍼스티지 아파트 단지 내부에 비치된 시비 사진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한 누리꾼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시비 사진을 게시하며 "아파트 단지 찬양시를 적어 돌에 새겼다. 강남에 이런 단지가 한둘이 아니란다"고 했습니다.
이어 "시어가 주는 감성과 울림은 사라지고 천박하기 그지없는 탐욕의 단어들을 나열한 저 돌덩어리가 시비라니. 이 시비를 보고 역겹고 부끄러운 것은 누구의 몫인가. 나라가 미쳤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속 시비에 새겨진 시는 박영석 시인이 쓴 것으로, 제목은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 천 년의 보금자리'입니다.
'한강 변 남쪽 안자락에 희망을 묻어둔 준비된 땅', '빼어난 자태의 진주가 폭포를 품은 아름다운 꿈 동산이 되어 만물상으로 새롭게 자리하니', '버들치 노니는 시냇물 줄기는 육백 년 도읍지의 희망으로 흘러라', '천 년을 이어갈 새로운 바람이 금강송 기지에 향기로 머물고 인정의 꿈이 물안개처럼 피어오르는', '영원한 우리들 꿈의 보금자리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등의 시어가 담겼습니다.
해당 시비 사진들을 접한 누리꾼 중 다수는 "내가 아파트 주민이면 민망할 것 같다", "한국 사회의 단상을 보여준다", "김정은 백두혈통 찬양 같다" 등 부정적인 반응을 내보였습니다.
한편, 해당 아파트 단지는 기존 반포주공2단지를 재건축해 지상 최고 32층, 28개동, 총 2444가구 규모로 지었습니다.
국민평형인 전용 84㎡(34평)이 올해 7월 43억 원에 거래됐습니다.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모든 반려인들이 알아야 할 반려동물의 질병과 처치법 [반려병법]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25일 온라인 상에서는 래미안 퍼스티지 아파트 단지 내부에 비치된 시비 사진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한 누리꾼은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시비 사진을 게시하며 "아파트 단지 찬양시를 적어 돌에 새겼다. 강남에 이런 단지가 한둘이 아니란다"고 했습니다.
이어 "시어가 주는 감성과 울림은 사라지고 천박하기 그지없는 탐욕의 단어들을 나열한 저 돌덩어리가 시비라니. 이 시비를 보고 역겹고 부끄러운 것은 누구의 몫인가. 나라가 미쳤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속 시비에 새겨진 시는 박영석 시인이 쓴 것으로, 제목은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 천 년의 보금자리'입니다.
'한강 변 남쪽 안자락에 희망을 묻어둔 준비된 땅', '빼어난 자태의 진주가 폭포를 품은 아름다운 꿈 동산이 되어 만물상으로 새롭게 자리하니', '버들치 노니는 시냇물 줄기는 육백 년 도읍지의 희망으로 흘러라', '천 년을 이어갈 새로운 바람이 금강송 기지에 향기로 머물고 인정의 꿈이 물안개처럼 피어오르는', '영원한 우리들 꿈의 보금자리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 등의 시어가 담겼습니다.
이 밖에도 시인 구성달의 '영원한 파라다이스-래미안 퍼스트'라는 제목의 찬양시가 새겨진 시비 사진도 온라인상에서 함께 공유되고 있습니다.
해당 시비 사진들을 접한 누리꾼 중 다수는 "내가 아파트 주민이면 민망할 것 같다", "한국 사회의 단상을 보여준다", "김정은 백두혈통 찬양 같다" 등 부정적인 반응을 내보였습니다.
한편, 해당 아파트 단지는 기존 반포주공2단지를 재건축해 지상 최고 32층, 28개동, 총 2444가구 규모로 지었습니다.
국민평형인 전용 84㎡(34평)이 올해 7월 43억 원에 거래됐습니다.
디지털뉴스팀 기자ㅣ이유나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모든 반려인들이 알아야 할 반려동물의 질병과 처치법 [반려병법]
소리 없이 보는 뉴스 [자막뉴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