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소비 느는데 방제대책은 취약…아열대 채소에 맞춤형 기술 지원
[앵커]
요즘 고수나 공심채와 같은 아열대 채소들 많이 드시는데요.
하지만 아열대 채소는 병해충에 약해 재배 농가에서는 어려움이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농진청에서는 농가들을 돕기 위해 맞춤형 기술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엄승현 기자입니다.
전북 정읍의 한 농가. 비닐하우스 내부에서는 대표 아열대 작물인 공심채 수확이 한창입니다.
기존에 애호박을 재배했던 이 농가는 소득이 낮고 노동력이 많이 들자 7년 전부터 공심채 재배를 시작했습니다.
<김수연 / 전북 정읍 농가> "재배하는 것도 좀 쉽긴 한데, 가격적인 면도 이제 베트남 채소가 아직까지는 한국 채소에 비해서 수익이 한 1.5배 높다 보니까…."
이유는 외국인 유학생과 다문화 가정이 늘어났고, 또 관련 소비 역시 늘었기 때문입니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국내에 아열대 재배 가능 지역이 증가한 것도 이유입니다.
문제는 아열대 작물은 병해충에 약한데 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약제가 국내에는 많지 않고 또 연작이 힘들어 농가에서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돕고자 농촌진흥청에서는 아열대 채소 전문 현장기술지원단을 구성해 맞춤형 기술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지원단은 그린빈, 공심채 등 17개 아열대 작물을 키우는 농가들에 대해 육묘 기술, 병해충 방제 기술 등에 대한 맞춤형 기술 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한범 / 농촌진흥청 고객지원담당관> "현재 지원하고 있는 재배 농가도 아직 재배 기술이 정립되지 않았는데 지속적으로 관리해서 안정적인 재배 기술이 정착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입니다."
[영상취재기자 정경환]
#농촌진흥청 #아열대 #작물 #공심채 #고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앵커]
요즘 고수나 공심채와 같은 아열대 채소들 많이 드시는데요.
하지만 아열대 채소는 병해충에 약해 재배 농가에서는 어려움이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농진청에서는 농가들을 돕기 위해 맞춤형 기술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엄승현 기자입니다.
[기자]
전북 정읍의 한 농가. 비닐하우스 내부에서는 대표 아열대 작물인 공심채 수확이 한창입니다.
기존에 애호박을 재배했던 이 농가는 소득이 낮고 노동력이 많이 들자 7년 전부터 공심채 재배를 시작했습니다.
<김수연 / 전북 정읍 농가> "재배하는 것도 좀 쉽긴 한데, 가격적인 면도 이제 베트남 채소가 아직까지는 한국 채소에 비해서 수익이 한 1.5배 높다 보니까…."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국내 아열대 채소 재배 면적은 2020년 123ha에서 2022년 140ha로 늘어났습니다.
이유는 외국인 유학생과 다문화 가정이 늘어났고, 또 관련 소비 역시 늘었기 때문입니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국내에 아열대 재배 가능 지역이 증가한 것도 이유입니다.
문제는 아열대 작물은 병해충에 약한데 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약제가 국내에는 많지 않고 또 연작이 힘들어 농가에서는 어려움이 따르고 있습니다.
<김성언 / 전북 정읍 농가> "아열대 작물 하는 데 있어서 PLS 인증받은 농약이 없어서 그런 방제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많이 겪었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돕고자 농촌진흥청에서는 아열대 채소 전문 현장기술지원단을 구성해 맞춤형 기술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지원단은 그린빈, 공심채 등 17개 아열대 작물을 키우는 농가들에 대해 육묘 기술, 병해충 방제 기술 등에 대한 맞춤형 기술 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한범 / 농촌진흥청 고객지원담당관> "현재 지원하고 있는 재배 농가도 아직 재배 기술이 정립되지 않았는데 지속적으로 관리해서 안정적인 재배 기술이 정착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엄승현입니다. (esh@yna.co.kr)
[영상취재기자 정경환]
#농촌진흥청 #아열대 #작물 #공심채 #고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