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각자도死 내몰려…집단휴진 결의 참담" 92개 환자단체 절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2개 환자단체가 의료계의 집단휴진 계획에 대해 “참담함을 느낀다”며 철회를 촉구했다. 이들은 환자들에게 진료를 미뤄달라고 부탁한 의대 교수들을 향해 “부탁은 환자 말고 전공의들에게 하라”고 일갈했다.

중증아토피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등 환자단체들은 13일 국회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집단휴진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대위 등의 무기한 휴진 결의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다”며 집단휴진 결의 철회를 요구했다.

중앙일보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등 환자 단체 관계자들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 촉구 환자단체 공동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환자단체들은 개원의와 의대 교수들의 집단휴진 계획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들은 “지난 넉 달간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장기간 의료공백으로 환자들은 큰 불안과 피해를 겪었다”면서 이제 막 사태 해결의 희망이 보이는 시점에서 또다시 의료계의 집단휴진 결의를 보며 참담함을 느낀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넉 달간의 의료공백 기간 어떻게든 버티며 적응했던 환자들에게 의료진의 연이은 집단 휴진·무기한 휴진 결의는 절망적인 소식”이라며 “환자들은 이제 각자도생(生)을 넘어 ‘각자도사(死)’의 사지로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그동안 각자의 주장만을 고집하는 의료계와 정부의 일방통행에 우려를 표하며 환자의 고통을 외면하지 말아 달라고 호소했지만, 누구도 환자의 목소리를 듣지 않았다”며 “이 상황이 애초에 왜, 무엇을 위해 시작됐으며 환자들은 도대체 언제까지 참아야 하나 묻고 싶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들은 특히 서울대병원의 집단휴직 계획과 관련해 “서울대병원 비대위가 입장문에서 ‘진료를 미뤄주기를 부탁한다’고 썼는데, 이것이 환자들에게 부탁이랍시고 할 수 있는 말인가”라며 “부탁은 제자이자 후배인 전공의들에게 했어야 하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국회를 향해서는 “다시 이런 일이 생기더라도 환자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진료지원인력을 합법화해야 한다”며 “의료인 집단행동 시에도 응급실, 중환자실, 분만실 등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는 정상 작동할 수 있도록 관련 입법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난 21대 국회에서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은 정당한 사유 없이 필수의료 행위를 정지·폐지·방해하는 행위를 할 수 없도록 한 의료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개혁과 관련해서 추후 의사들이 다시 집단행동을 할 여지도 적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 역시 이와 관련한 법·제도 정비를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서인 기자 choi.seoi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