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AI”…빅테크들 ‘서울 서약’ 채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오른쪽)과 미셸 도넬란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이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AI 서울 정상회의와 AI 글로벌 포럼과 관련해 브리핑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1~22일 이틀간 열린 ‘에이아이(AI) 서울 정상회의’가 막을 내렸다. 빠르게 진화하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세계적인 규범(거버넌스)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아래 한국과 영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모여 방향성을 논의했다. 참가국들은 각국에 설립하고 있는 ‘인공지능 안전 연구소’ 간 협력을 강화하고, 정부와 기업 간의 소통을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이번 행사는 영국에서 열린 1회 때의 ‘안전’에 이어 ‘혁신’과 ‘포용’이란 열쇳말을 제시하며 주요국과 핵심 빅테크 업체들의 지지를 끌어냈다. 첫날 국제 협력 강화를 강조한 ‘서울 선언’에 이어, 22일 구글·마이크로소프트·오픈에이아이·삼성전자·네이버 등 국내외 주요 인공지능 관련 업체들은 ‘서울 인공지능 기업 서약’을 발표했다.



한겨레

22일 오후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AI 서울 정상회의’ 장관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들이 오인하지 않도록 인공지능이 만든 콘텐츠에 워터마크(표지)를 붙이고, 국제 표준 개발에 협력하기로 업체들은 약속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을 특정 계층만 향유하지 않도록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방식의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상대적으로 기술이 뒤처진 개발도상국과 신흥경제국의 대학·연구실 등에 인공지능 자원 및 인프라 지원에도 힘을 쓰겠다는 내용도 서약에 담겼다.



1차 회의 때와 달리 상대적으로 규제보다는 혁신에 무게를 둔 주장들이 도드라졌다. 실제로 이날 빅테크 업체들 중심으로 열린 ‘기업과 전문가 포럼’의 기조연설자로 나선 앤드루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는 “모든 지식 근로자가 인공지능의 혜택을 받을 것”이라며 “인공지능 기술을 규제하면 발전은 더딜 것이다. 혁신과 안전 모두를 잡기 위해선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응용 서비스)을 구분하여, 기술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규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흐름에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보편적 디지털 권리를 위한 동맹’의 아만다 마니아메는 함께 열린 ‘인공지능 글로벌 포럼’ 전문가 세션에서 앤드루 응 교수를 겨냥하며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을 나눠 거론한 발표도 있었는데, 기술도 규제가 필요하다”며 “해악이 내재된 기술을 응용 단계에서 규제하는 건 너무 늦다”고 꼬집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행사가 끝난 뒤 미셸 도널런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과 개최한 공동 기자회견 자리에서 “안전을 위한 기술적 발전, 즉 혁신이 함께 가야 한다. 기술 격차가 거시적으로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결국 안전과 혁신, 포용은 묶여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오전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 개회식’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및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유경 임지선 기자 edge@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