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HMM 지배구조 '민간+공공 소유' 형태가 바람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HMM 재매각 시 정부 측 지분을 일부 남겨 민간과 공공이 함께 지배구조를 이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구교훈 한국국제물류사협회 회장은 22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한국해양기자협회 주최 2024년 춘계 정기포럼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앞서 HMM 채권단인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는 HMM 매각에 나섰으나 인수 후보였던 하림그룹과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협상을 종료한 바 있다.

구 회장은 향후 HMM 재매각 시 “국내 기업인 포스코와 독일 선사인 하팍로이드의 지배구조를 적절히 혼합한 ‘민간+공공’ 소유구조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포스코나 KT&G는 특정 대주주가 없이 공기업과 공공기관이 참여하고 민간기업과 함께 지배구조를 이루는 사례”라면서 “세계 5위 선사인 독일 하팍로이드는 오너 지분 30%에 함부르크시와 칠레 선사 CSAV, 카타르투자청, 사우디아라비아 국부 펀드 등 여러 우량 대자본이 모여서 민간과 공공기관이 조화롭게 지배구조를 갖추고 있는 모범적인 사례”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내 해운기업들이 부침을 반복했던 이유가 오너 중심인 지배구조 문제가 컸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구 회장은 “오너 일가 중심인 친족 경영체제로 인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어려웠다”며 “이로 인해 급변하는 국제 해운물류 시장에 제때 부응하지 못한 채 글로벌 경쟁력을 상실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이어 “한국 해운기업이 지배구조에 취약한 면을 드러내면 해운 시황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 있다”면서 “이러면 글로벌 선사들의 먹잇감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글로벌 해운산업은 여러 이슈에 직면해 있는데 △얼라이언스(해운동맹) 재편 △친환경 규제 △무역 패러다임 변화 등이 대표적이다.

이에 구 교수는 “HMM 매각 때 향후 지배구조 기준은 인수기업 40%, 정부 공공기관 30%, 화주·선사·소액주주 등 30% 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제안했다.

산은 등 채권단이 지난 20일 HMM 영구채 1000억원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중도상환청구권을 행사하면서 산은과 해진공 합산 지분율은 기존 57.88%에서 59.1%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 회장의 주장은 공공기관 측 지분은 일부 남기고 민간기업 등 다양한 주주들이 참여하는 방향으로 HMM 지배구조가 개편돼야 한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구 회장은 HMM의 미래와 관련해 선복량 확충을 통한 해상 운송 사업에 올인하기보다는 복합물류사업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할 필요가 있다며 세계 최대 컨테이너 선사 가운데 하나인 덴마크 머스크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구 회장은 “글로벌 톱 7위인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ONE)는 2030년까지 선복량을 70만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증가시켜 총 300만TEU를 확보할 예정”이라며 “HMM 역시 2030년까지 160만TEU로 선대를 늘리겠지만 결국 ONE 대비 절반밖에 안 된다. 따라서 HMM은 당분간 글로벌 7위로 올라설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컨테이너 선대를 무조건 증가시키는 게 불확실한 시황 특성상 해운 시장에서 유리한지 아니면 독이 될 수 있는지를 신중히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는 해양기자협회 회원들과 해운업계, 학계 등 산·관·학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해 주제발표와 관련한 다양한 의견들을 개진했다.
아주경제

22일 여의도 해운빌딩에서 열린 해양기자협회 주최 2024년 춘계 정기포럼 전경 [사진=해양기자협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주경제=김혜란 기자 khr@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