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일해공원 찾은 조국 “독재자 전두환 호, 공원 이름에 사용하면 안 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2일 고 전두환 대통령 호를 딴 경남 합천군 합천읍 일해공원 입구에서 공원 명칭 변경을 촉구하는 입장문 발표에 앞서 ‘일해공원’이 적힌 종이를 찢고 있다. 2024.5.22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22일 고 전두환 전 대통령 호를 딴 경남 합천군 합천읍 일해(日海)공원을 찾아 “독재자 호를 군민이 이용하는 공원에 사용하는 것은 상식과 멀다”고 밝혔다.

조 대표는 이날 합천이 고향인 같은 당 차규근 당선인, 생명의숲되찾기합천군민운동본부 회원 등과 함께 일해공원 입구에서 기자 회견을 열어 이러한 내용을 담은 입장문을 낭독했다.

조 대표는 “전두환씨는 5·18 광주 학살 주범”이라며 “반란과 내란수괴죄로 사형 선고를 받았는데 국민에게 사과하기는커녕 죽는 날까지 변명만 늘어놓았다. 이런 독재자의 호가 공원 이름으로 사용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조 대표는 또 “국민의힘은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해야 한다’고 밝혔는데 5·18 학살 주범의 호를 군민이 이용하는 공원에 새기는 게 합당한 지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해공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우리나라 지명 표준화 편람 원칙에도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
서울신문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2일 경남 합천군 합천읍 일해공원 입구에서 공원 명칭 변경을 촉구하는 입장문 발표 후 표지석 뒷면을 가리키고 있다. 2024.5.22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대표는 “우리나라 지명 표준화 편람에서는 사후 10년이 지난 인물도 특별한 반대가 없을 때만 (이름을 지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일해공원은 이런 기준이나 현대사의 아픔을 따져봤을 때 사용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토교통부 장관, 합천군수는 공원 이름을 원래대로 복원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 대표는 ‘일해공원’이라는 글자가 인쇄된 종이를 참석자들과 함께 찢기도 했다.

2004년 ‘새천년 생명의 숲’이라는 이름으로 개원한 일해공원은 2007년부터 현재 이름으로 개칭해 논란이 계속됐다.

군은 일해공원 명칭 변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공론화 절차에 착수했다.

조희선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