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조국 "전두환·이완용 號 딴 공원, 이름의 가치 다르지 않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

머니투데이

(광주=뉴스1) 안은나 기자 =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18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제44주년 기념식에 입장하고 있다. 2024.5.1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광주=뉴스1) 안은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전두환 전 대통령의 호(號)를 딴 경남 합천 일해(日海)공원을 두고 "(친일파 이완용의 호를 딴) 일당(一堂)공원과 이름의 가치 측면에서 다를 바 없다"고 22일 비판했다.

조 대표는 이날 오후 일해공원을 찾아 "(단순히 이 지역 출신이라는 이유로) 이름 또는 호를 붙이는 일이 아니다"라면서 "나라를 팔아먹은 이완용의 호 일당을 그의 고향인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공원 이름으로 사용해도 되겠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일해공원이 위치한 경남 합천은 전 전 대통령의 고향이다.

조 대표는 "국민의힘은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는데 5·18 학살 주범의 호를 군민이 이용하는 공원에 새기는 게 합당한지 답해야 한다"며 "국민의힘이 이 문제를 바로잡는데 앞장서주길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5·18 기념식 때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 국민운동본부에서 광주를 방문해 문제의 일해공원 명칭을 복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봤다"며 "조국혁신당은 공원이 다시 군민이 원하는 이름을 되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조 대표는 "전두환 씨는 5·18 광주 학살의 주범이다. 반란과 내란수괴로 사형선고를 받았고 죽는 날까지 사과는커녕 변명만 늘어놓았다"며 "그런 독재자 호를 빌려 군민이 이용하는 공원에 사용한다는 것은 상식과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또 "(일해공원 설립) 당시 지명 표준화 편람에 명시된 '생존 인물의 인명 사용은 배제한다'는 기준에도 맞지 않는다고 들었다"며 "합천군수는 법령에 따라 개최하도록 한 지명위원회도 열지 않았다"고 했다.

조 대표는 "상황이 이런데도 17여년간 잘못이 바로잡히지 않았다고 들었다. 작년 6월 합천군 지명위원회에서 일해공원 명칭을 기존대로 '새천년 생명의 숲'으로 하자는 안건을 부결시켰다"라며 "비난이 고조되자 최근 합천군은 군 지명위원회 권고라며 명칭 변경과 관련해 공론화 과정을 거치겠다고 했다. 우리나라 지명 표준화 편람에는 사후 10년이 지난 인물도 특별한 반대가 없을 때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일해공원 명칭은 예나 지금이나 기준에 맞지 않고 현대사의 아픔을 따져봤을 때 사용해선 안 될 일이다. 합천군수는 공원 이름을 원래대로 복원시켜야 할 것"이라며 "이 문제는 합천군에만 맡길 일이 아니라 정부·국토교통부가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지명 정비관리 소관 부처는 국토지리정보원인데 이 사안에 대해 합천군이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방치한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즉각 국토지리정보원장에게 지시해 이 문제를 처리토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안은나 기자 =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 회원들이 18일 5·18민주화운동 제44주년 기념식이 열리는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 앞에서 합천 전두환 공원 국민 거부권 행사를 촉구하며 피케팅을 하고 있다. 2024.5.18/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광주=뉴스1) 안은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도현 기자 ok_kd@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