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CIA 물 먹인 이집트?…“가자지구 휴전안 몰래 수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NN 소식통 인용 보도

"이집트 정보기관, 양측에 의사 전달 달라"

"하마스 유리하게 협상안 수정"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의 휴전 협상이 무산된 것이 이집트 정보기관의 소행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CNN은 21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 3명을 인용, 지난달 중재국 이집트를 통해 하마스에 전달된 이스라엘의 휴전협상안 조건 일부가 이집트 정보기관에 의해 비밀리에 수정됐다고 보도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마스가 지난 6일 수용하겠다고 밝힌 휴전협상안의 내용이 중재국 카타르 및 미국이 잠정적 최종안으로 알고 있던 것과 다른 조건을 담고 있었던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당시 하마스는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전면 철수 및 인질·수감자 교환 등을 포함한 이집트의 중재안을 수용했으나,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제안한 휴전안은 우리의 요구사항과 거리가 멀다"며 라파 공습을 단행한 바 있다.

소식통은 이러한 의혹의 중심으로 이집트 국가정보국(GNI)의 아흐메드 압델 칼렉 수석 부국장을 지목했다. 해당 휴전협상안 조건을 수정하는 작업을 주도한 인물이자 두 교전 당사국에 서로 다른 이야기를 꺼내 협상을 혼선에 빠뜨린 장본인이라는 것이다. 또 "휴전 협상에 관련된 모든 이들은 이집트가 이스라엘과 하마스 측에 동일한 문건(원안)을 제공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었지만, 이집트 정보 당국은 하마스 측의 요구사항을 더 많이 삽입하고선 다른 중재국들에는 알려주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휴전 협상 교착의 전말을 전해 들은 미국과 카타르, 이스라엘 당국자들은 "우리 모두가 속았다"며 분노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협상이 이뤄진 이집트 카이로를 직접 찾아가 휴전 성사를 위해 앞장선 빌 번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이집트가 협상 조건을 수정했다는 말을 전해 듣고는 분통을 터트렸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자신이 이스라엘을 속이는 데 가담했거나, 휴전 중재 과정에서 배제돼 있던 것처럼 비칠까 우려한 것이라고 소식통은 짚었다.

CIA 대변인은 이러한 보도와 관련해 논평을 거부했으며, 이집트 정부 또한 이 같은 의혹과 관련한 질의에 응답하지 않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한편 카림 칸 국제형사재판소(ICC) 검사장은 지난 20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가자지구 최고지도자 야히야 신와르 등 이스라엘 및 하마스 지도부에 전쟁범죄 혐의로 체포영장을 청구했다. 미국의 우방 지도자가 ICC의 수배 대상이 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이스라엘은 ICC 회원국이 아니어서 실제로 체포가 이뤄지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