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수박 색출' 논란 속…김성환 "추미애 대신 우원식 찍었다" 공개, 왜?

댓글 6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

머니투데이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전략공관위원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22대 총선 비례후보 추천 선발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4.03.12. bjko@newsis.com /사진=고범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경선에서 추미애 국회의원 당선인이 아닌 우원식 의원이 당선된 것을 두고 강성 당원들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김성환 의원이 22일 우 의원을 찍었다고 자진 공개했다.

김 의원은 이날 본인의 페이스북에 '제가 우원식 후보에게 투표한 이유'란 제목의 글을 올렸다. 친명(친이재명)계인 그는 이재명 대표 체제에서 정책위의장 등 당직을 맡았다. 지난 총선 과정에선 인재영입위원회 간사·전략공천관리위원회 위원 등을 맡으며 이 대표와 긴밀히 소통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게시글에 "지난 16일 우원식 후보가 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로 선출된 이후 다수 당원의 반응은 우 의원도 훌륭한 후보지만, 왜 다수 당원의 의사와 달리 의원들이 투표했느냐 의견이 많았다"며 "지난 총선에서 다수 국민들은 윤석열 정부의 오만과 독선에 대해 민주당이 국회에서 결연히 싸워달라고 하셨다. 국회의장 선거에서 당원들의 요구도 같았다고 생각한다"고 썼다.

이어 "투표 당시 고민이 많았다"며 "제가 30년 전부터 지켜본 우원식 후보는 단 한 번도 개인의 이익을 위해 국민과 당의 이익을 훼손해 본 적이 없었다. 해외연수 때만 보이는 의장이 아니라, 개혁과 민생의 현장에서 함께하는 새로운 의장이 될 것이란 생각. 총선의 민심과 당심을 누구보다 잘 실천할 것이란 믿음. 제가 고민 끝에 우 후보를 선택한 이유"라고 적었다.

김 의원은 또 "국가의 주인은 국민이고, 당의 주인은 당원"이라며 "저는 당원의 권리가 더 확대돼야 하는 취지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이번 국회의장 선거 과정에서의 선택도 다수 당원의 요구와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저는 생각한다"고 썼다.

그러면서 "22대 국회가 멀지 않았다. 저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도 더 열심히 하겠다"며 글을 맺었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장 후보 당선자 우원식 의원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2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단 후보 선출을 위한 더불어민주당 당선자총회에서 추미애 후보와 꽃다발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4.5.16/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우 의원은 지난 16일 민주당 22대 총선 당선자들의 무기명 투표로 진행된 국회의장 후보자 경선에서 추 당선인을 꺾고 의장 후보로 선출됐다. 그러자 추 당선인을 지지했던 강성 당원들을 중심으로 불만이 터져 나왔다. 당선자들의 개인 휴대전화에 항의 전화가 빗발쳤고, 당에는 1만건이 넘는 탈당계가 제출됐다. 강성당원들의 일명 '수박'(겉과 속이 다르다는 의미·비이재명계를 부르는 은어) 색출도 시작됐다.

김 의원은 이날 머니투데이 더300[the300]과의 통화에서 투표 내용을 공개한 데 대해 "일부 유튜버들이 우 의원에게 투표한 사람은 (우 의원을 찍었다고) 밝히지도 못한다며 비겁하다고 하고, 추 당선인을 뽑은 사람은 정의롭다는 식으로 얘기를 하고 있다"며 "우 의원을 찍은 사람을 비겁한 사람을 취급하는 상황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해서 글을 썼다"고 했다.

이어 "제 경우에 우 의원이 당심과 민심에 보다 잘 부합하게 일을 할 것이라고 확신해서 (우 의원에) 투표를 한 것"이라며 "저는 또한 당의 주인이 당원이기 때문에 당원들의 권한이 더욱 확대돼야 한다는 데에 이견도 없다"고 덧붙였다.

오문영 기자 omy0722@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