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불 뻥뻥 차는 SNS 흑역사, '지우개' 하나면 쓱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개인정보위, 어린시절 작성된 개인정보 게시글 삭제 서비스 시행 1년

서비스 확대·지원대상 확대…1년간 1만6000여건 처리

뉴시스

[서울=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A군은 초등학교 시절 영상 공유 플랫폼에 당시 유행했던 챌린지 영상을 올렸다. 중학교에 진학하면서 영상이 친구들 사이에 놀림거리가 되었고 A군은 삭제를 시도했다. 하지만 어릴 적 만들었던 계정이라 계정 정보를 분실해 삭제할 수 없었고 영상 공유 플랫폼에서 안내하는 방법대로 계정 찾기와 게시물 삭제를 시도했지만 쉽지 않았다. 또 해외 사업자인 영상 공유 플랫폼은 국내 사업자와 달리 고객센터를 운영하지 않아 답답함만 커져갔다. 그러던 중 A군은 정부에서 운영하는 '지우개 서비스'를 알게 됐고, 상담사의 친절한 안내에 따라 손쉽게 게시물을 삭제할 수 있었다.

지난해 4월말부터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운영한 '지우개서비스' 사업이 시행 1년을 맞았다.

지우개는 '지켜야할 우리들의 개인정보'의 줄임말로, 아동·청소년 시기에 온라인에 게시한 글·사진·영상 등에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해당 게시물의 삭제를 지원해 주는 서비스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이후, 성과분석과 현장간담회 의견수렴을 통해 올해 초부터 지원 대상에 해당하는 온라인 게시물의 작성시기를 18세 미만에서 19세 미만까지로 확대하고, 서비스의 신청연령도 24세 이하에서 30세 미만으로 확대한 바 있다. 지난달 30일까지 지우개서비스 시행 1년간 신청접수건은 1만7148건(처리 1만6518건)에 달했다.

개인정보위는 더욱 많은 이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서비스 관련 주요 Q&A를 만들어 개인정보위 SNS를 통해서도 안내하고 있다. 또 이달 23일부터 25일까지 천안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 개최되는 '2024 대한민국 청소년 박람회'에 지우개 사업 부스를 운영해, 박람회에 참여한 많은 청소년들이 지우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장에서는 체험이벤트 외에도 SNS 인증 및 공유 이벤트도 동시에 진행될 예정이다.

이정렬 개인정보위 사무처장은 "지우개 서비스는 온라인 게시물 삭제 지원을 통한 실질적인 도움뿐 아니라, 아동·청소년 시기부터 개인정보를 스스로 보호하는 인식 조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위원회는 우리 사회의 미래인 아동·청소년의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hewo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