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중국에 관세전쟁 선포한 미국, 유럽에 공동 대응 요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21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재무경영대에서 명예박사 학위 증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프랑크푸르트/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산 주요 상품들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결정한 미국이 유럽도 이런 움직임에 동참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나섰다.



로이터 통신은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21일 “중국의 산업 정책은 우리가 있는 이 방과 멀리 떨어져 보일지 모르지만 전략적이면서 단합된 방식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우리 양쪽 국가들과 세계 기업들의 생존이 위험에 처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옐런 장관은 23~25일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를 앞두고 독일 프랑크푸르트재무경영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한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 전기차 등 중국 상품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공동 대응이 주요 주제가 될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옐런 장관은 또 기자들에게 “중국의 전략에 대한 우려는 공유되고 있다고 본다”며 “많은 나라들이 이런 우려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집단적으로 더 강하게 중국과 소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주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이유로 전기차는 100%, 범용 반도체는 50%, 철강·알루미늄은 25% 등 중국산 주요 상품 관세를 몇 배씩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일부 무관세 품목은 새로 관세를 매기겠다고 했다. 중국 정부가 막대한 보조금으로 이런 품목들의 과잉생산을 유도하고 덤핑 판매로 외국의 경쟁 업체들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11월 대선을 앞둔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강화하면서 유럽까지 끌어들이면 미-중 갈등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유럽 쪽은 미국의 ‘중국 과잉생산’ 주장에 어느 정도 동의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이 유럽 자동차 업체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벌이고 있다. 하지만 국가별, 산업별 이해관계에 따라 입장이 다소 엇갈린다. 유럽이 수입하는 전기차의 37%는 중국산이지만 이 중에는 유럽과 미국 업체들이 중국에서 생산한 차들이 포함돼 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최근 “유럽과 일부 미국 제조 업체들이 중국시장에서 성공하고 있고, 유럽에서 만든 차를 중국에 많이 판매하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