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해진 네이버 GIO "다양한 AI 모델 필요…내달 AI 안전 프레임워크 발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1일 오후 AI 서울 정상회의 정상 세션 참가

더팩트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21일 서울정상회의의 정상 세션에서 AI 모델의 다양성과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더팩트 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최문정 기자]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미래 세대를 위해 다수의 인공지능(AI) 모델이 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AI전환이 전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른 만큼 안전성 확보 방안에 대해서도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해진 GIO는 지난 21일 오후 AI서울정상회의의 정상 세션에 참가해 "AI시대에서 보다 안전한 AI를 위해서는 각 지역의 문화, 가치를 존중하는 책임감있는 다양한 AI 모델들의 등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사용자들이 하나의 키워드로 다양한 검색 결과에서 정보를 선택하는 검색과 달리, 바로 답을 제시하는 AI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답을 얻는 방식"이라며 "이러한 AI의 특성은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GIO는 이러한 AI의 특성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돼야 한다고 짚었다.

그는 '과거를 지배하는 자는 미래를 지배한다: 현재를 지배하는 자는 과거를 지배한다'는 소설 구절을 인용하면서 "극소수 AI가 현재를 지배하게 되면 과거 역사, 문화에 대한 인식은 해당 AI의 답으로만 이뤄지게 되고, 결국 미래까지 해당 AI가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통찰했다.

이 GIO는 "이런 관점에서, 다양한 시각들이 보여지고 각 지역의 문화적, 환경적 맥락을 이해하는 다양한 AI 모델들이 많이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역사에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며 "다양한 AI 모델로 각국의 문화 등 다양성을 지킬 수 있고, 어린이들, 청소년들도 제대로 된 역사관, 시각을 가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 GIO는 네이버가 AI 안전성과 다양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 성과를 조만간 공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네이버는 다양성을 통해 연결이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술과 서비스를 실현해왔고, AI 윤리 준칙 발표에 이어 보다 구체화된 AI 안전 실행 프레임워크인 '네이버 AI 세이프티 프레임워크'를 다음달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GIO는 "네이버는 각 지역의 문화와 가치를 존중하고 이해하며 책임감 있는 다양한 AI 모델들이 나와 많은 글로벌 국가들이 자체 소버린 AI를 확보할 수 있도록 어떤 형태든 기술로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세션 발표를 마쳤다.

한편, 이번 AI 서울 정상회의는 전날부터 이날까지 진행된다. 공동 주최국 영국과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등 주요 7개국(G7), 싱가포르와 유럽연합(EU), 국제연합(UN),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이 참여했다. 기업에서는 슈미트재단, 구글 딥마인드, 앤트로픽, xAI, 삼성전자, 네이버, 미스트랄AI,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웹서비스, 메타 등이 참여했다.

munn09@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