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일자리 사라진다" 괜한 오해였나…AI 도입한 업종, 반전 결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인공지능(AI) 열풍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생산성 성장 둔화를 겪은 선진국의 성장 해결책이 되고, 저출산 문제에 직면한 국가의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거란 분석이 나왔다. AI 기술을 도입한 업종의 노동 생산성이 그렇지 않은 업종보다 훨씬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는 이유에서다.

머니투데이

인간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인공지능(AI) 열풍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생산성 성장 둔화를 겪은 선진국의 성장 해결책이 되고, 저출산 문제에 직면한 국가의 노동력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거란 분석이 제기됐다.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회계법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는 이날 '2024 AI 일자리 지표(바로미터)' 보고서를 통해 AI 도입률이 높은 업종의 노동 생산성 증가율이 다른 업종보다 5배가량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같이 전했다. PwC는 세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와 세계 주요 15개국의 5억개 이상 구인 광고를 추적해 AI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보고서를 이날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 기술이 많이 도입된 금융, 정보기술(IT), 전문 서비스 관련 업종의 노동 생산성이 2022년 기준 지난 4년간 4.3% 증가했지만, AI 도입률이 낮은 건설, 제조 및 소매, 식품 및 운송 분야의 생산성은 0.9% 증가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AI의 부상이 낮은 생산성 성장의 틀에서 벗어나 경제 성장, 임금 및 생활 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PwC 글로벌 시장 및 세무·법률 서비스 책임자인 캐롤 스터빙스는 "노동 생산성이 높은 업종은 그렇지 않은 업종보다 AI 기술을 보유한 사람들의 구인 광고가 더 빠르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는 AI가 해당 업종의 생산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AI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를 도입하는 기업들이 더 늘어나면서 AI 기술 도입으로 인한 노동 생산성 증가 추세는 더 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국 중 하나인 영국에서는 AI 기술을 요구하는 구인 공고가 전체 구인 공고에 비해 3.6배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같은 업종 내에서도 AI 기술 유무에 임금 수준이 달랐다며 AI 열풍으로 근로자들의 임금도 올라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이것이 국가 경제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PwC 분석에 따르면 AI 기술을 요구하는 일자리의 급여 수준은 평균적으로 미국에서는 25%, 영국에서는 1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니투데이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고서는 또 현재 기업들이 인력 부족에 대한 해결책으로 AI를 활용하고 있다며 "이는 노동 연령 인구 감소로 노동력 수요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에 희소식이 될 수 있다. AI는 경제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노동력 공급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22년 말 오픈AI의 생성형 AI '챗GPT'가 출시된 이후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등 노동시장에 상당한 변화가 생길 거란 우려가 제기됐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앞서 "AI가 쓰나미처럼 전 세계 노동 시장을 강타하고 있다"며 "향후 2년 안에 선진국 일자리의 60%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영국의 공공정책연구소(IPPR)는 AI 기술 발전으로 향후 몇 년 안에 영국에서 최대 8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하지만 PwC는 "(챗GPT 출시 전부터) AI는 10년 이상 고용시장에 영향을 미쳐왔다"고 짚었다. 보고서는 "챗GPT 출시 이후 AI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AI 기술을 요구하는 새로운 일자리 증가세는 지난 2012년부터 이미 전체 일자리 증가세를 앞섰다"고 전했다. AI 기술을 요구하는 일자리 증가세는 2022년 최고 수준에 도달했고, 당시 관련 일자리 수요는 2012년보다 9%가 많았다.

PwC 영국의 바렛 쿠펠리안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연구 결과는 AI가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고용 시장을 변화시켜 잠재적으로 생산성 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힘을 가졌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현재 AI 기술 도입이 일부 산업에 집중되어 있지만, 향후 기술이 더 발전해 다른 부문으로 확산하면 미래의 잠재력은 변혁적일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정혜인 기자 chimt@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