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개혁신당, 범야권 '채상병 특검' 장외투쟁 불참한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쟁 격화 투쟁 방식 거리두기

민주당 주도 범야권 차별 해석

사안 따라 보수·범야 정책 소신

범야권 대표들이 21일 '채해병특검법' 재의요구를 규탄하는 공동 장외투쟁에 나선 가운데, 개혁신당의 불참 결정에 이목이 쏠린다. 개혁신당은 채상병 특검법에 찬성하지만, 투쟁 방식에 대해선 일정부분 거리를 둘 방침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장혜영 정의당 원내대표 권한 대행, 윤희숙 진보당 대표 등 6개 야당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채해병특검법 재의요구 규탄 야당·시민사회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들은 채해병특검법을 거부한 대통령실과 여당에 맞서 재의결이 될 수 있도록 힘을 합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날 회견에서 개혁신당은 참석하지 않았다. 김성열 개혁신당 신임 수석대변인은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당에선 채해병 특검법에 대해 전적으로 찬성하지만 국민들에게 보여주기식 장외투쟁에 대해선 내부적으로 지양하자는 의견이 있었다"고 말했다. 정쟁을 격화시킬 수 있는 투쟁 방식에 대해선 범야권과 일정 거리를 두겠다는 해석이다.

당내 일각에선 전날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진행한 범야권 특검법 수용 기자회견 요청 과정을 문제 삼기도 했다. 범야권에서 허은아 개혁신당 대표에게 행사를 불과 40여분 앞두고 사전 협의 없이 참석 요청을 해 당내 혼선이 발생했다는 후문이다. 당 관계자는 "한 정당의 수장에게 11시 행사를 10시 20분에 연락해 참석해 달라고 요청하는 게 공당을 대하는 경우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결국 지도부에선 불참을 결정한 상태에서 허 대표가 참석하는 등 약간의 혼선이 있었다"고 전했다.
아시아경제

이재명 대표 예방한 개혁신당 허은아 대표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왼쪽)가 21일 국회 당 대표실을 예방한 개혁신당 허은하 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2024.5.21 kjhpres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치권에선 민주당 주도의 장외투쟁 방식을 명분 삼아 개혁신당이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한 정무적 판단을 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야권에 속하지만, 보수정당으로서 민주당 및 조국혁신당 등 진보정당과 일정 부분 거리두기를 위한 포석이라는 설명이다. 야권 한 관계자는 "사안에 따라 민주당 등과 연대 및 독자 행보를 펼쳐 당 존재감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개혁신당은 총선 직후 민주당이 주도하는 전 국민 25만원 민생지원금 제안에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전 대표는 민생지원금과 관련해 일정 소득 기준 이하 국민에 한해 혜택을 주는 방식에는 동의할 수 있지만, 무차별적으로 모든 국민에게 동일한 액수를 지원하는 방식에는 찬성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는 지원금 살포가 국가채무를 증가시키는 포퓰리즘 정치로 규정하고 민주당을 비판하는 정부·여당과 의견을 같이한 셈이다.

개혁신당 관계자는 "채해병 특검법과 관련해 내부적으로 장외 투쟁 등의 행동은 자제하는 대신 정부·여당에 대한 특검법 찬성 의사를 꾸준히 개진해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채해병 특검법 재의요구안을 상정해 의결 처리했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이를 재가했다.
아시아경제

'채상병특검법' 재의 요구 규탄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등 야당 의원과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재의요구 규탄 야당·시민사회 공동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정부는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국무회의를 열어 '해병대 채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 특별검사법'에 대한 재의요구안을 의결했다. 2024.5.21 utzz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