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높아지는 구리 몸 값…실물 원자재 투자 플랫폼 ‘센골드’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인공지능(AI) 개발 환경 구축에 필요한 구리의 수요 증가로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의 실물 원자재 조각투자 플랫폼 ‘센골드’가 주목받고 있다.

구리는 건축, 송전, 전자제품, 산업기계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원자재이지만, 최근 AI 수요 증가에 따른 데이터센터 설립과 전력망 확보를 위한 필수 원자재로 더욱 주목받으면서 21일 현재 톤(t) 당 가격이 1만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달리고 있다.

구리 원자재에 투자하려면 ETF, ETN, 해외선물 등을 이용하거나 관련 기업에 간접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국내 ETF/ETN의 경우 매매 차익에 따라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되며, 운용수수료도 고려해야 한다. 美 원자재 ETF는 2023년부터 매도액의 10%를 세금으로 내야 하기 때문에 손실 시 부담이 크다는 단점과 함께 수익에 따라 22% 양도소득세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여서 투자자의 세심한 판단이 필요하다.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이 서비스하는 조각투자 서비스 ‘센골드’는 이러한 단점을 회피하면서도 소액 투자가 가능하다는 이유로 투자자들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실제로 ‘센골드’는 거래수수료 이외에 다른 부대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2023년 5월부터 ‘e구리’ 거래 서비스를 개시했는데, 구리와 동일한 가치를 지닌 모바일 교환권으로 실시간 국제시세와 환율이 반영되며, 100g 단위 소액으로도 거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센골드에서는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은뿐만 아니라 플래티넘, 팔라듐, 니켈, 주석 등 산업 원자재에도 직접 투자할 수 있다.

박성욱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 대표는 “센골드 서비스는 2020년 서비스 시작 이후 누적 거래 금액이 1조원에 이르렀으며, 이런 투자 수요를 반영해 고객들이 다양한 실물 자산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히고자 거래 품목을 계속 늘려 나갈 예정”이라면서 “모그룹인 아이티센그룹은 실물 원자재의 거래를 뛰어넘어 향후 도래할 RWA(Real World Asset, 실물연계자산) 시장을 준비하고 있으며,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도 그 과정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