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6분, 6분, 54분…카톡 잦은 장애, 복구시간도 길어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보)5월 들어 세번째 장애…원인은 "내부 시스템 오류"

머니투데이

카카오톡 로고


카카오톡이 최근 잦은 서비스 장애로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다. 지난 13일과 20일에는 각각 6분 간 장애가 발생한 데 이어 21일에는 1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웹서비스의 일시적 장애는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일이지만, 지나치게 잦은 데다 복구에 소요되는 시간도 점점 길어지면서 이용자들의 불안감도 커진 표정이다.

카카오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30분부터 9시24분까지 54분간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PC버전 카카오톡이 로그인되지 않거나 메시지 수·발신이 원활하지 않은 등의 현상이 발생했다.

카카오는 일부 이용자에게만 장애가 발생했고, 모바일 카톡은 이상이 없었다고 밝혔다. 또 이상 발견 후 즉각 조치해 서비스를 정상화했다. 장애 원인에 대해서는 "내부 시스템 오류"라고만 전했다.

다수 이용자들이 불편을 호소한 카카오톡의 장애는 이달 들어서만 세 번째다. 지난 13일 오후 1시44분부터 오후 1시50분까지 6분 동안, 또 전날에도 오후 2시52분부터 약 6분간 일부 이용자들이 카카오톡 장애를 겪었다. 이에 대해서도 카카오는 '일부' 이용자만 불편을 겪었고, 내부 시스템 오류 때문이라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IT(정보기술) 업계에선 카카오톡을 비롯한 모든 온라인 서비스는 장애 가능성이 상존하는 만큼, 오류 자체보다는 얼마나 빠르게 복구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더욱이 카카오톡은 '국민 메신저'로 불릴 정도로 사회 인프라로 성장한 만큼 장애 시 신속한 복구가 더욱 중요하다는 평가다.

실제로 2022년 10월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카카오톡 '먹통' 사태 당시에는 서비스 완전 복구에 127시간 30분이 걸리면서 '일상이 마비됐다'는 말까지 나왔다. 이에 정부와 카카오는 사고 방지는 물론 장애 발생 시 서비스를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의 다중화와 백업 시스템 마련 등을 강조한 바 있다.

변휘 기자 hynews@mt.co.kr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