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인뱅 3사 고속 성장중 …제4인뱅 자리 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카오·케이뱅크, 1분기 기준 최대 실적 경신

인뱅, 주담대·아담대 전세환대출 성장세 뚜렷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으로 성장 힘들어"

메트로신문사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가 올 1분기 역대급 실적을 시현하면서 금융시장의 '메기'로 자리잡고 있다. 인뱅 3사 실적 호조에 제4 인뱅 출범을 준비하는 곳은 출범 후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지만, 기존 인터넷은행과 차별성이 없다면 선택을 받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올해 1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1%(93억원) 늘어난 111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1분기 수신 잔액은 직전 분기 대비 5조8000억원 증가한 53조원, 여신 잔액은 지난해 말 대비 2조6000억원 증가한 4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87.5% 증가한 507억원을 기록하면서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1분기 수신 잔액은 23조9700억원으로 지난해 말(19조700억원) 대비 25.7% 늘었고, 여신 잔액은 6.6% 증가했다.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는 올해 1분기 전년 동기(-482억원) 대비 360억원(75%) 개선된 12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토스증권은 1분기 119억원의 실적을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토스뱅크 역시 호실적이 예상되고 있다.

인뱅 3사의 성장 배경에는 시중은행과 차별화를 둔 금리로 공격적인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아파트담보대출(아담대), 전세대출 시장 공략, 혁신상품을 통한 경쟁력 확보 등이 꼽히고 있다.

인뱅들은 점포가 없어 점포를 관리하는 시중은행과 비교해 비용을 아낄 수 있다.

인뱅 3사의 고속 성장으로 제4인터넷은행 인가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지만, 출범 후 시장에 자리잡을 지는 의문이다.

현재 제4인터넷은행 인가 추진 의사를 밝힌 곳은 더존뱅크, 유뱅크, KCD뱅크, 소소뱅크 컨소시엄 등 총 4곳이다. 이들은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으로 하는 특화 금융서비스를 내세우고 있다.

통상적으로 인가 후 출범까지 1~2년이 소요되는데, 그동안 케이뱅크는 기업공개(IPO), 토스뱅크는 주담대 출시, 카카오뱅크는 새로운 투자 상품 추진 등 인뱅 3사들의 성장은 지속될 전망이다.

또한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으로 하는 특화 금융서비스가 성공할 지도 미지수다. 인뱅 3사에도 소상공인·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고객 유치가 현실적으로 힘들기 때문이다.

카카오뱅크는 카카오톡 플랫폼 이용자 기반, 토스뱅크는 2000만 이용자를 지닌 간편송금 토스 앱 기반, 케이뱅크는 가상자산거래소 1등 업비트와 함께 고객 유치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는데, 제 4인뱅은 기존 3사와 비교해 기반이 낮은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제 4인뱅이 자리를 잡기 위해선 획기적 서비스가 필요하지만 인뱅 3사 역시 대부분이 갖추고 있다"며 "제4인뱅이 자본 확대에 성공해도 건전성과 수익성을 잡기까지는 지금보다 시간이 더 소요 될 것"이고 말했다.

이어 "인뱅 3사 역시 사업 확장에 애를 먹고 있는 상황에서 제4인터넷은행의 시장 안착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