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여성들은 가난했던 韓서 매춘" 어느 일본인의 탄식 글 화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일본 도쿄 길거리.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에 빠진 일본의 현실을 탄식하는 일본인의 글이 국내 온라인에서도 회자도 되고 있다. 이웃 국가 일본의 사회적 모습이 자주 국내에도 투영됐기 때문이다.

'유나선생(ゆな先生)'이라는 필명의 일본 네티즌은 지난 12일 'X'(옛 트위터)에 '2024년의 일본'이란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글은 올린 지 열흘 만인 21일 기준 조회수 193만회를 돌파했다.

필자는 "오렌지 주스 조차 못 살 정도가 돼 감귤 혼합 주스를 눈물 흘리며 마시게 됐다"며 일본인이 처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어 "여성들이 해외 매춘을 너무 많이 나가 미국 입국 거부가 속출하면서 얼마 전까지만 해도 훨씬 가난했던 한국에 매춘을 나간다"고 했다.

중앙일보

유나선생의 일부 글. 사진 엑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필자는 자국 관광 산업에 대해서도 수출 부진과 연결해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 그는 "과거의 무역 수출 강국은 오랫동안 방치돼 있었고, 지금은 무역 적자가 수조 엔에 달해 수출할 것이 없다"며 "관광업으로 동남아시아, 인도, 그리고 이름조차 모르는 나라 사람들에게 필사적으로 머리를 숙여 외화를 벌고 있다"고 적었다.

부동산 내 중국인들의 영역이 커지고 있는 점도 문제 삼았다. 그는 "도시 지역에서는 일본인이 중국인 집주인에게 매월 아파트 임대료를 내고, 비싸서 부동산을 살 수 없다고 한탄하는 일본인 곁에서 중국인들은 싸다며 현금으로 아파트를 사고 있다"고 한탄했다.

아울러 일본의 기술력과 고령화, 저출산 문제에 대해 비판하며 엔저 현상도 꼬집었다. 그는 "새로운 신약이 있어도 구제받을 젊은이들은 구제받지 못하고, 오늘도 노인들은 즐겁게 병원에 모여 연고를 받는다"며 "그들(젊은 세대)은 돈이 없어 혼인율도 역대 최저를 기록했고, 동시에 출생률도 전후 최저를 기록했다"고 썼다.

그러면서 "과거 영광의 시절에 모아둔 외화를 판매해 간신히 버티고 있지만, 언제까지 갈지 모른다"며 "과거 세계인들이 갖고 싶어 했던 통화인 엔화는 '비상시 엔화'라는 별칭이 과거의 것이 돼 매일같이 바닥을 치고 있다"고 탄식했다.

글을 접한 현지 네티즌들은 "현실을 잘 정리했다" "사실 글보다 현실은 더 이상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 글은 국내의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회자하며 관심을 받고 있다. 네티즌들은 "곧 다가올 우리의 미래" "우리도 마찬가지" "다음 세대는 정말 미국 이민 밖에"라는 등의 공감을 보였다.

한지혜 기자 han.jeehy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