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김정숙 여사 방인 배경에는 '강경화 장관' 있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8년 인도 측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 초청

참석 어렵자 우리 정부가 "영부인 방인 검토" 설명

이에 모디 인도 총리 명의로 초청장 송부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문재인 전 대통령이 회고록에서 지난 2018년 부인 김정숙 여사의 인도 방문은 인도 측 초청에 따른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정부가 이에 배치되는 설명을 내놨다.

이데일리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일 외교부에 따르면 애초 인도 측은 지난 2018년 11월 허황후 기념공원 착공식과 디왈리 축제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초청했다. 당시 강 장관의 참석이 어려웠고 이를 인도 측에 통보했다. 이후 인도 측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재차 초청했으나 정부는 이 과정에서 “영부인이 함께 방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인도 측에 설명했다.

이에 인도 측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명의로 초청장을 송부해 왔다는 것이다.

문 전 대통령은 자신의 부임 시절 외교 비화를 담은 회고록 ‘변방에서 중심으로’에서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은 “모디 총리가 허황후 기념공원 조성 계획을 설명하면서 개장 때 꼭 다시 와달라고 초청했다”라며 “나로서는 인도를 또 가기가 어려워 고사했더니 인도 측에서 ‘그렇다면 아내를 대신 보내달라’고 초청해 아내가 대신 개장 행사에 참석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문 전 대통령은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을 ‘영부인의 첫 단독외교’라고도 했다.

외교부의 설명대로라면 애초 인도 측은 해당 행사에 문 전 대통령이 아닌 외교 장관을 초청했으며 이후에 우리가 김 여사의 인도 방문을 검토 중임을 시사하자 초청장을 보낸 것으로 문 전 대통령의 회고록 내용과는 배치된다.

아울러 외교부는 외교부 출장자에 대해서만 여비를 지급했다며 김 여사 관련 예산은 주관부처인 문체부에서 관련 예산을 편성 및 지출했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