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제 22대 총선

판세 흔든 '이조심판' '대파논란'…총선 본투표 표심 10% 움직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본투표 1~3일 전 '후보자·정당 선택' 유권자 10% 안팎

유권자 절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몰랐다" 응답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각각서울과 인천에서 주말 지원유세를 하고 있다. 2024.3.30/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이비슬 기자 = 22대 총선 본투표일인 4월10일에 투표한 유권자 중 10%가 선거일을 3일가량 앞두고서야 어느 후보와 정당에 투표할지 결심을 굳힌 것으로 조사됐다. 이른바 대파 논란부터 이·조(이재명·조국) 심판, 이종섭·황상무 사태, 위안부 비하 발언으로 뒤섞인 여야의 정치 공세가 막판까지 유권자 표심을 흔든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22대 국회의원 선거에 관한 유권자 의식 조사'에 따르면 4월 10일 선거일 당일 투표한 유권자 중 투표일 1~3일 전 투표할 지역구 후보자와 정당을 결정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9.7%, 10.7%로 집계됐다. 선거일 당일 투표할 후보자와 정당을 결정했다는 비율은 각 4.7%, 4.5%였다.

자신이 투표할 후보자를 지난 4월 5일 실시한 사전투표 1~3일 전에 결정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5.7%였다. 선호 정당을 사전투표 1~3일 전 선택한 비율은 7.4%였다. 사전투표 일주일 전 후보자를 결정한 비율은 11.3%, 정당을 결정한 비율은 16.7%로 나타났다.

선거 직전 유권자 표심에는 여야의 정치 공세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민의힘은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지난 3월 28일부터 이·조 심판을,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를 직격한 정권 심판론을 강조하며 연일 거센 공방을 주고받았다.

이후에도 윤석열 대통령의 대파 가격 발언과 투표소 대파 반입 금지 논란과 민주당 일부 후보자들의 논란이 재소환되면서 여야의 공방을 지켜본 후 유권자들의 표심을 결정한 것으로 해석된다.

뉴스1

투표한 후보자·정당 결정 시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권자의 30~40%는 여야의 선거 공세에도 자신의 선호 후보자와 정당을 일찌감치 결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전투표한 유권자는 이미 한 달 이상 전부터 후보자(43.6%)와 정당(35.4%)을 결정했다고 답했다. 선거일 당일 투표한 유권자 가운데서도 한 달 이상 전부터 후보자(33.7%)와 정당(28.6%)을 결정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구 후보를 뽑을 때 선택 기준은 '소속 정당'(38.8%), '정책·공약'(25.7%) 순서였고 비례대표 정당을 선택할 때 고려한 기준은 '정당의 정책·공약'(30.8%), '지지하는 지역구 후보자 소속 정당'(22.8%) 순서였다.

이번 22대 총선 투표율은 67.0%로 14대 총선(71.9%) 이후 32년 만에 가장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번 선거에 '투표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유권자는 '정치에 관심이 없어서'(40.8%)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지난 21대 총선 대비 8.1%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또 다른 이유는 '개인적인 일·출근 등'(21.5%), '투표해도 바뀌는 것이 없어서'(15.9%), '마음에 드는 후보자나 정당이 없어서'(10.7%)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투표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능감에 대해서는 '선거를 통해서 국가 전체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의견에 유권자 73.7%가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투표 효능감은 지난 21대 국회의원선거 당시 조사했던 결과(69.9%, 68.6%, 50.2%) 대비 증가했다.

사전투표가 투표 참여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유권자는 93.0%로 나타났다. 사전투표를 했던 유권자는 '편리해서'를 42.5%로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사전투표제도가 '선거일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의 투표 참여를 돕는다'는 주장에는 89.7%가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사전투표를 신뢰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선 '일각에서 사전투표에 대한 부정선거 의혹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38.3%)가 가장 높은 이유로 꼽혔다.

또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적용을 알고 있었다는 응답은 52.7%였고 몰랐다는 답은 47.3%였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의석 배분 방식의 인지 여부에 대해선 53.0%가 '알고 있었다'고 했고 47.0%가 '몰랐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선관위 의뢰로 한국갤럽이 지난달 11일부터 이달 1일 사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639명을 대상으로 한 태블릿 PC 이용 대면면접조사(TAPI)를 통해 실시했다.

b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