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정부, RE100 대표에 “韓 특성 고려” 요청…국제기준 간극 좁힐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산업장관-RE100 대표, 재생e 정책 면담

- 좁은 국토, 제조업 중심 등 “불리한 조건”

- “한국형 RE100과 국제기준 간극 좁혀야”

쿠키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0일 글로벌 RE100 캠페인을 진행하는 영국 민간단체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의 헬렌 클락슨 대표를 만나 한국의 재생에너지 정책 및 RE100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글로벌 RE100(사용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족) 캠페인을 진행하는 영국 기반 비영리단체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의 대표를 만나 한국의 재생에너지 정책 및 RE100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높은 원전 이용률, 좁은 국토, 제조업 중심 등 한국의 특성을 고려한 글로벌 기준 개정을 요청하기도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장관이 20일 서울에서 ‘아시아 재생에너지 성장 포럼’ 참석을 위해 방한한 더 클라이밋 그룹의 헬렌 클락슨 대표와 면담을 했다고 밝혔다.

민간 캠페인인 RE100은 국제 기후위기 가속화에 따라 세계적으로 428개 기업,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현대차·기아, LG에너지솔루션 등 36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안 장관은 한국 정부가 재생에너지, 원자력, 수소 등을 포괄하는 무탄소에너지(CFE)의 균형 있는 활용이라는 기조 아래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최근 발표한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공급망 강화 전략’도 이 같은 노력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지난 16일 정부 주도로 올해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설비용량 6GW(기기와트)의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을 보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철강·자동차 등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제조업 중심 국가인 데다, 국토가 좁고 산지가 많아 재생에너지 활용 여건이 주요국 대비 불리하다. 원자력 발전비중도 이미 30%대를 차지해 주축으로 자리잡은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들로 한국형 RE100 기준을 만들었지만 글로벌 기준과 다른 점이 통계의 오류로 작용해 우리 기업들의 노력이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더 클라이밋 그룹과 탄소공개프로젝트(CDP)’가 공동 발간한 ‘2023 RE100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이 보고한 RE100 실천 방안 중 57%의 에너지원이 국제 지침을 기준으로 출처 불명(unknown)으로 분류됐다. 같은 기간 중국이 보고한 RE100 실천 방안 중 에너지원 불명 비중은 4%, 베트남은 0%였다.

한국식 녹색프리미엄 제도(기존 전기요금과 별도로 재생에너지에 프리미엄을 지불해 인정받는 제도)가 국제기준에 따른 에너지원 출처, 추가성(재생에너지 발전 기여 확대 효과) 등을 확보하지 못해 차이가 발생한 것이라는 분석이 잇따랐다.

이에 안 장관은 주요국과 다른 한국의 재생에너지 보급 환경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더 클라이밋 그룹 측이 최근 추진하는 ‘글로벌 RE100 기술 기준’ 개정 과정에서 한국 기업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안 장관의 요청에 클락슨 대표는 “한국 정부 정책에 대해 이해하는 계기가 됐다”면서 “한국 측 요청에 대해 주의깊게 살펴볼 것”이라고 답변했다.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