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삼성SDS, AI로 ‘공급망 리스크’ 실시간 감지···“대응책 수립에 하루→2시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삼성SDS 오구일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이 20일 서울 잠실캠퍼스에서 열린 첼로스퀘어(Cello Square) 미디어데이에서 공급망 리스크 대응을 위한 디지털 전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삼성SDS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SDS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공급망 리스크’를 실시간 감지함으로써 대응 방안 수립에 걸리던 시간이 기존 하루에서 2시간으로 단축됐다고 20일 밝혔다.

삼성SDS는 이날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 미디어데이 행사를 열고 AI를 활용한 디지털 물류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삼성SDS는 매일 수집한 6만건 이상의 국제 뉴스에서 머신러닝 기법으로 물류 리스크를 자동 추출하고 있다. 추출된 리스크의 위험도를 생성형 AI를 통해 3단계로 나눠 산정한다. 삼성SDS는 이를 위해 과거 약 2만건의 글로벌 물류 리스크 사례로 위험도를 판단하는 모델을 개발해 AI가 위험도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학습시켰다고 설명했다.

위험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동이 자동으로 산출되면, 삼성SDS 물류 전문가들이 데이터 분석 을 통해 대응 방안을 신속하게 수립한다. 삼성SDS는 이 같은 ‘AI 기반 리스크 센싱·분석’을 활용해 지난달 이스라엘과 이란의 충돌 상황을 감지했다. 당시 이스라엘 도착 예정인 항공 물동에 영향이 있음을 고객에게 알리고, 확전에 대비해 오만·아랍에미리트연합(UAE) 등의 인근 항구까지 해상으로 운송한 뒤 주변국을 활용하는 대체 방안을 제시해 예정된 시간에 운송을 완료했다고 한다.

또한 삼성SDS는 생성형 AI를 활용해 고객 서비스와 물류 운영 업무의 하이퍼 오토메이션(초자동화)을 구현했다고 소개했다. ‘첼로스퀘어’에서 메뉴별로 클릭하지 않고도 AI와의 대화만으로 견적 조회, 필요 컨테이너 수 산정 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기존에는 담당자가 일일이 확인해야 했던 고객별 물동량과 물류비 추출도 자동화했으며, 도착 예정시간과 미래비용 예측도 정확성을 높였다.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솔루션도 준비 중이다.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은 “코로나19 이후로 계속된 글로벌 리스크로 인해 고객들의 물류 디지털 전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며 “디지털 기술과 AI를 활용해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에도 중단 없이 지속 가능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