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매출 100대' 中기업 88%·日기업 50% "韓기업과 협력하고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경협 '한일중 경제협력 관련 설문조사'

한국·중국 '원자력·수소'…일본 '반도체' 협력 원해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일본과 중국 대기업의 과반수가 우선 협력 대상국으로 한국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세 국가는 원자력·수소·신재생 등 에너지와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 분야에서 협력 강화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다음 달 한일중 정상회의를 앞두고 세 국가의 매출 100대 제조기업(한국 100개사·일본 107개사·중국 111개사)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일중 경제협력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국내 경제단체가 세 국가 대기업을 대상으로 경제 현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합뉴스

[한경협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설문조사 결과, 상대국 기업과의 협력 의향과 관련해 일본과 중국 기업은 한국 기업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를 보였다.

10점 척도를 기준(점수가 높을수록 상대국 기업과의 협력 의향 높음)으로 일본 기업은 중국 기업(4.7점)보다 한국 기업(5.2점)과 협력 의사가 컸다.

중국 기업도 일본 기업(6.5점)보다 한국 기업(7.1점)과의 협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기업의 협력 의향은 양국 기업에 대해 비슷한 수준(일본 기업 6.3점·중국 기업 6.1점)으로 나타났다.

기업 수로 환산하면 중국 기업의 88%, 일본 기업의 50%가 한국 기업과의 협력 의사를 밝혔다고 한경협이 전했다.

세 국가 간 관계 개선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한국 75.0%, 일본 46.7%, 중국 45.0% 순으로 필요하다고 답했다.

관계 개선이 필요한 주요 이유로 한국 기업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49.3%)와 '공급망 안정'(26.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일본·중국 기업의 경우에는 '동북아 안보 및 평화'(일본 40.0%·중국 44.0%)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분야와 관련해 한국과 중국 기업은 '원자력·수소·신재생에너지'(한국 25.2%·중국 23.9%)를 1순위로 지목했다.

일본 기업은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25.5%)를 가장 협력이 필요한 분야로 택했다.

연합뉴스

[한경협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현재의 가장 큰 경제 현안으로는 가장 많은 한국과 일본 기업이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3고(高)에 따른 '원자재 가격 불안정'(한국 38.0%·일본 35.0%)이라고 답했다.

중국 기업은 '국내 경기 침체로 인한 경제 성장동력 약화'를 최대 경제 현안(42.3%)으로 꼽았다.

경기회복 가능 시점과 관련해선 한국과 일본 기업은 '이미 회복했다'(한국 25.0%·일본 57.0%)는 답이 가장 많았다. 중국은 '2025년 하반기에 회복될 것'(24.3%)이라는 응답 비중이 가장 컸다.

아울러 세 국가 기업들은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따른 노동 인력 감소를 큰 문제로 인식했다.

이를 위기로 인식하는 비율은 한국 81.0%, 일본 77.6%, 중국 62.2% 순으로 조사됐다. 해결 방안으로는 '육아휴직 제도'(한국 54.0%·일본 51.7%·중국 33.1%)가 가장 많이 제시됐다.

viv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