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국방과 무기

[월드 핫피플] 미국 대사는 일본 최서단 섬에 왜 군용기를 타고 갔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람 이매뉴얼(왼쪽) 주일 미국대사가 17일 일본 최서단인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을 찾아 이토카즈 겐이치 시장과 함께 최서단비 앞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요나구니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일 미국대사가 대만의 제16대 총통 취임식을 앞두고 일본에서 가장 서쪽에 있는 섬을 찾아 중국의 위협에 대한 방어 의지를 강조했다.

AP통신은 18일(현지시간) 람 이매뉴얼 주일 미국 대사가 전날 일본과 중국 간 긴장관계의 최전선에 있는 일본 남서부의 요나구니섬과 이시가키섬을 찾아 대만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의지를 보였다고 전했다.

요나구니섬은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서 160㎞ 떨어진 곳으로 20일 열리는 라이칭더 신임 대만 총통의 취임식을 3일 앞두고 일본 최서단 영토를 미국 외교관이 방문한 것은 대만 유사시 미국과 일본이 함께 대응할 태세가 갖춰져 있음을 보여주는 행보로 평가된다.

이매뉴얼 대사는 자신의 엑스(옛 트위터)에 “요나구니섬을 방문한 첫 미국 대사지만, 내가 마지막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썼다.

이어 중국의 도발 행위로 일주일간 조업을 하지 못했다는 이 지역의 어부도 만나 “중국은 (후쿠시마 오염수 해상 방류 문제로) 일본 수산물을 금지했지만, 중국이 일본 해역에서 조업하는 것을 막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서울신문

일본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 일대 지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매일 조업을 하는 유나구니의 어부들은 지역경제를 뒷받침할 뿐 아니라 영유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이매뉴얼 대사는 “이것이 진정한 승리의 모습이자 바로 경제 안보”라고 덧붙였다.

그는 2016년 요나구니섬에 설치된 미군 기지와 미사일 방어 시스템 설치가 예정된 곳에서 일본 자위대 장병을 만났다. 이매뉴얼 대사는 지역 어업 공동체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보여주는 것이 방문 목적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2022년 낸시 펠로시 당시 미국 하원 의장이 대만을 방문한 직후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미사일 5발을 발사했다.

유나구니섬 인근에는 일본과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조어도(일본명 센카쿠, 중국명 댜오위다오)가 있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은 미국 대사의 섬 방문을 환영하며 추가 군부대와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 배치되는 남서부 지역의 안보 강화를 위한 일본의 노력이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신문

람 이매뉴얼(오른쪽) 주일 미국대사가 17일 일본 최서단인 오키나와현 요나구니섬을 찾아 어부들을 격려하고 있다. 요나구니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키나와현의 지역 정부 관리들은 이매뉴얼 대사가 군용기를 타고 요나구니섬 공항에 착륙한 것을 두고 비판적 의견을 밝혔다.

대만해협에서 미국과 중국 간에 분쟁이 발생하면 자칫 가장 먼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데니 다마키 오키나와 지사는 주일 미군 5만명 가운데 약 절반이 있는 오키나와 주둔 미군 병력 규모가 감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미군이 요나구니섬의 민간 공항을 이용하는 것은 비상사태 외에는 자제되어야 한다”면서 이매뉴얼 대사가 탄 미 군용기가 요나구니섬을 이용한 사실을 비난했다.

윤창수 전문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