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5·18기념식' 여고생 열사 사진 잘못 사용해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故 박금희 열사 소개하는 영상에 박현숙 열사 사진 내보내

보훈부 "착오 있었다… 유족에 사과하고 재발방지책 마련"

뉴스1

5·18민주화운동 44주년 기념식에서 고 박금희 열사를 집중조명하는 기념 영상 속에 고 박현숙 열사 사진이 표출됐다.(MBC 방송 캡쳐) 2024.5.18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뉴스1) 최성국 기자 = 정부 주관으로 18일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고(故) 박금희 열사를 집중 조명하는 내용의 영상 속에 박금희 열사가 아닌 고 박현숙 열사 사진이 들어가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국가보훈부와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고 박금희 열사(사망 당시 16세)는 계엄군이 1980년 5월 21일 광주~화순 간 도로에서 벌인 봉쇄 작전 당시 희생자다.

춘태여상 2학년으로 간호사를 꿈꿨던 박금희 열사는 "피가 부족해 사람들이 죽어간다"는 차량 방송을 듣고 시위대 측 헌혈 버스에 올라 부상자들을 위한 헌혈에 나섰다.

그러나 당시 조선대에서 주남마을로 이동하던 제11공수여단과 제7공수여단이 총격전을 벌이면서 헌혈을 마치고 귀가하던 박금희 열사도 소태동 버스 종점 부근에서 총탄에 맞아 숨졌다. 현재 그는 5·18 묘지 제1묘역 1-26에 잠들어 있다.

보훈부는 이날 기념식에서 박금희 열사의 안타까운 죽음을 조명하는 영상을 내보내면서 그가 1979년 11월 27일 받은 헌혈증서와 인물 사진을 소개했다. 그러나 헌혈증서와 함께 등장한 사진은 박금희 열사가 아니라 고 박현숙 열사(사망 당시 16세)의 것이었다.

5·18 당시 송원여상 3학년이던 박현숙 열사는 1980년 5월 23일 주남마을 근처에 매복해 있던 계엄군의 총격에 사망했다.

박현숙 열사는 당시 수많은 사상자로 인해 시신을 담을 관이 부족해지자, 관을 구하려 화순으로 가는 시민군 버스에 올라탔다가 변을 당했다.

박현숙 열사는 현재 5·18 묘지 1묘역 2-03번에 안장돼 있다.

이에 대해 보훈부 관계자는 "영상 제작 과정에서 착오가 있었다"며 사진을 잘못 사용한 사실을 인정하면서 "유가족에게 사과하고 재발방지책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star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