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尹대통령 “서민·중산층 시대, 광주 희생과 눈물 보답하는 길”(종합)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년째 5·18기념식 참석…노무현 이어 두 번째

참석자들과 손 흔들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대한민국, 광주가 흘린 피와 눈물 위 서있어”

헤럴드경제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서민과 중산층 중심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이것이 ‘오월 정신’의 계승이자 광주의 희생과 눈물에 보답하는 길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민주 영령들의 숭고한 희생에 경의를 표하고 그날의 아픔을 가슴에 묻고 묵묵히 오월의 정신을 이어온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와 유가족에게 위로와 감사를 전했다.

윤 대통령은 광주 거리 곳곳에 핀 이팝나무 꽃을 언급한 뒤 “44년 전 5월, 광주시민과 학생들이 금남로에서, 도청에서 나눠 먹은 주먹밥을 닮은 새하얀 이팝나무 꽃”이라며 “사방 도로가 모두 막히고 먹을 것도 떨어졌던 그때, 시민들은 너나 할 것 없이 쌀과 솥을 들고 나와 골목에서 주먹밥을 만들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을 지키기 위해 광주가 하나 되어 항거했다”며 “1980년 5월, 광주의 그 뜨거운 연대가 오늘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을 이룬 토대가 됐다. 지금의 대한민국은 광주가 흘린 피와 눈물 위에 서 있다”고 평가했다.

또 “오월의 정신이 깊이 뿌리내리면서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의 꽃을 활짝 피워냈다”면서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누리는 정치적 자유와 인권은 이제 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하지만 지금 우리는 또 다른 시대적 도전을 마주하고 있다”며 “경제적 불평등이 불러온 계층 갈등, 그리고 기회의 사다리가 끊어지면서 날로 심화되는 사회 양극화가 자유민주주의의 위기를 불러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치적 자유는 확장됐지만 경제적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수많은 국민들이 있다”며 “정치적 인권은 보장되고 있지만 일상의 여유조차 누리기 어려운 국민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경제를 빠르게 성장시켜 계층 이동의 사다리를 복원하고 국민이 누리는 자유와 복지의 수준을 더 높이 끌어올려야 한다”며 “성장의 과실을 공정하게 나누고 사회적 약자를 더욱 두텁게 보호해 국민 모두가 행복한 ‘서민과 중산층 중심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래세대가 내일을 꿈꿀 수 있도록 도전과 기회의 토양을 더욱 단단히 다져야 한다”며 “이를 통해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묶고 온 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저는 이것이 오월의 정신을 이 시대에 올바르게 계승하는 일이며 광주의 희생과 눈물에 진심으로 보답하는 길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은 “민주 영령들께서 남겨주신 자유민주주의의 위대한 유산을 더욱 굳건하게 지킬 것”이라며 “국민의 삶을 더 세심하게 챙기면서 더 큰 대한민국을 향해 국민과 함께 힘차게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오월의 정신이 찬란하게 빛나는 새로운 미래를 열기 위해 저와 정부의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면서 “다시 한번 우리 모두의 힘을 모아 오월 민주 영령들의 큰 뜻을 실천하고 자유와 번영의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 가자”고 당부했다.

헤럴드경제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5·18 유가족 대표들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취임 후 3년 연속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했다.

현직 대통령이 3년 연속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다.

윤 대통령은 오월의 정신이 대를 이어 계승된다는 의미에서 5·18 민주화운동 유공자 후손들과 함께 국립5·18민주묘지 입구에서 유가족 대표들을 태운 버스를 기다렸다 영접하고 ‘민주의 문’으로 동반 입장해 헌화와 분향을 했다.

기념식 마지막 순서에서 참석자들이 모두 일어서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할 때에는 좌우 참석자와 손잡고 손을 흔들며 함께 제창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을 마친 뒤에는 국립5·18민주묘지 1묘역에 안장된 故 박금희, 故 김용근, 故 한강운 유공자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은 민주주의가 5·18정신 위에 뿌리내리고, 오월이 꽃피운 희망을 가꿔 하나 되는 대한민국을 만들자는 메시지를 담아 ‘오월, 희망이 꽃피다’를 주제로 진행됐다.

5·18민주유공자와 유족, 학생, 시민, 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조국신당, 개혁신당, 녹생정의당, 진보당 등 여야 의원들과 당선인들도 대거 참석했다.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여는 공연, 경과보고, 기념공연, 기념사,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shindw@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