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재명, 5·18 기념일에 “어떤 권력도 국민과 진실 못 이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광주민주화운동 44주년을 맞은 18일 윤석열 정부를 겨냥해 “다시금 어떤 권력도 국민을, 또 진실을 이길 수 없다는 자명한 진리를 마음에 새긴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추진을 거듭 약속했다.

이 대표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통한의 44년, ‘폭력보다 강한 연대의 힘’으로 다시 태어난 5·18정신을 되새깁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총칼로 국민의 생명은 유린한 군부독재세력은 억울한 국민들의 죽음을 은폐하는 데 혈안이었다”며 “그러나 감추고 숨기려 들수록 오월 영령들의 넋은 ‘더 나은 세상’을 바라는 강렬한 열망으로, 또 진실과 정의의 편에 서고자 하는 새로운 생명들로 다시 태어났다”고 했다. 이어 그는 “그렇게 태어난 수많은 민주시민들이 ‘폭력보다 강한 연대’의 힘으로 민주주의의 새로운 길을 열어젖혔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더 이상의 5.18 폄훼와 왜곡이 발붙이지 못하도록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또한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며 “그래야 다시 이 땅에서 비극의 역사가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역사의 법정에 시효란 없고 온전한 진상규명만큼 완전한 치유는 없다”며 “민주당은 5·18의 진상을 낱낱이 밝히는 데 앞장서고 국가폭력 범죄는 반드시 단죄 받는다는 상식과 원칙을 바로 세우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5·18 기념일을 맞는 소감으로 “매년 민주영령들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이 피어오르는 5월이지만 올해 5·18은 한 분의 이름으로 인해 더욱 뜻깊다”며 “5·18 민주화운동의 첫 희생자였던 이세종 열사. 군부독재의 군홧발에 짓밟혔던 스물한 살 청년이 ‘국가폭력의 희생자’임을 인정받기까지 무려 44년이라는 통한의 세월이 필요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세종 열사는 전북대학교 농학과 2학년 재학 중 1980년 5월17일 밤 동료 학생들과 함께 ‘전두환 퇴진’ 등을 외치며 밤샘 농성을 하다 이튿날 학생회관 옆에서 멍자국과 핏자국이 가득한 채 주검으로 발견됐다. 하지만 사인은 폭행이 아닌 단순 추락사로 발표됐다.

1993년 시신을 검안했던 이동근 교수는 추락 전 계엄군의 폭행으로 이 열사가 사망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학계에서 5·18 민중항쟁의 최초 희생자는 이 열사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지난 3월 이 열사가 5·18 항쟁의 최초 사망자라는 내용의 조사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열사가 국가폭력 희생자로 밝혀지기까지 44년이 걸린 것이다.




김윤나영 기자 nayoung@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