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단독] 청담동 교회 목사의 두 얼굴... 수십억대 '투자사기' 혐의 입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페이로 전환하면 수당 지급" 등 약속
현금화 어려워지자 회사 나가고 잠적
수사받는 중에도 신흥코인 홍보 논란
한국일보

14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역삼역 인근의 한 건물 지하에서 교회 목사 A씨가 신흥 코인을 홍보하고 있다. 이서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찰이 회원 7만 명을 보유한 페이 업체를 운영하면서 수십억 원대 사기 행각을 벌인 혐의로 서울 강남의 교회 목사를 입건했다. 해당 목사는 전 세계에서 통용 가능한 신개념 결제수단을 빌미로 피해자들을 꾀어 투자금을 받아 가로챈 것으로 의심된다. 심지어 그는 경찰 수사를 받는 와중에도 가명으로 신흥 가상화폐(코인)를 홍보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17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서울 강남경찰서는 사기, 유사수신행위의 규제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로 15일 조이153페이 전 대표 A씨에 대한 고소장을 접수해 조사하고 있다. 목사인 A씨는 2022년부터 2년간 청담동에 교회와 사무실을 차린 뒤 "투자금을 조이153페이로 전환하면 매일 0.15~0.2%의 수당을 페이로 지급하겠다"고 홍보해 신도 등 7만 명의 회원을 모집했다.

그는 "페이 1개당 실제 돈 100원의 가치가 있어 회원 간 거래에 활용하면 된다"면서 "페이를 다시 현금화하고 싶으면 언제든 돌려주겠다"고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다. 주로 중·장년층이 대상인 홍보 강연에서도 "전 세계가 사용하는 새로운 결제수단" "편의점, 대형마트 등과 제휴해 곧 현실세계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것" 등 확인되지 않은 정보로 사람들을 설득했다.

다단계 운영 방식도 끌어들였다. 등급이 높은 회원들에게 더 높은 수당을 챙겨주는 식으로 3,000만 원 이상을 페이로 전환한 1스타부터 15스타까지 올라가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이런 스타 등급을 획득한 회원만 200~300명에 이른다.

하지만 이 업체는 지난해 6월 현금화가 막히면서 무너지기 시작했다. 페이 가치가 휴지 조각이 되자 A씨는 회사를 떠나버렸다. 그는 그간 회원들이 납입한 투자금을 교회 계좌로 받았는데, 지난해 4월 한 달 내역서만 봐도 3억 원이 입금됐다. 피해자들은 적게는 수천만 원에서 많게는 21억 원까지 투자금을 날린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이런 막대한 투자를 근거로 피해 규모가 많게는 100억 원에 달할 수도 있다는 추정을 내놓고 있다.

A씨는 사기 혐의로 수사를 받으면서도 가명으로 새로운 코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는 14일 서울지하철 2호선 역삼역 인근에서 새로운 코인과 관련한 설명회를 열었는데, 이 자리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창시자 샘 올트먼이 본인의 이름을 따서 만든 B코인이 6개월 뒤에 상장한다"는 내용의 마케팅 강연을 했다. 강연에 참석한 이모(64)씨는 "샘 올트먼이 만들었다는데 사기일 리 없다"고 확신했다.

A씨는 통화에서 사기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그는 "조이153페이는 애초에 물물교환 플랫폼으로 기획됐고 현금화를 약속한 적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오히려 중간에 페이를 유사수신 형태로 악용한 사람들 때문에 회사에 문제가 생겼고 잠적한 게 아니라 쫓겨난 것"이라며 "나한테 직접적으로 피해를 본 사람은 없다"고 강조했다. 최근 추진하는 코인 사업과 관련해서도 "B코인은 현재 전 세계에서 동시에 시작한 코인으로 '3~6개월 뒤에 상장할 수 있다'는 말이지 '상장한다'고 확실하게 말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서현 기자 her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