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여기저기서 다 치이네”…위기의 국민기업 구하러 정부 나섰다는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철강 수출입 점검 회의 개최


매일경제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한 냉연 철강 제품 [사진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산 저가 철강이 몰려드는데다 미국의 무역장벽, 엔저로 무장한 일본업체 등에 끼여 ‘삼중고’에 처한 국내 철강업계를 위해 정부와 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철강기업 7곳과 한국철강협회와 함께 ‘철강 수출입 현안 점검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철강업계 현장의 의견을 듣고, 저가 철강 공세에 맞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회의에서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따라 한국 철강업계가 역차별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다”며 “우리나라의 무역장벽이 외국에 비해 낮은 점을 모니터링 해달라고도 요청했다”고 말했다.

최근 철강업계는 중국의 철강 수출 증가와 미국, 중남미 등 주요국의 관세 장벽 강화, 엔저가 겹치면서 수익성에 타격을 받고 있다.

중국은 내수 침체가 이어지면서 자국에서 소화하지 못한 잉여 철강을 싼값에 해외로 수출하며 공급과잉을 유발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철강 수출은 전년 대비 약 40% 증가했고, 한국은 베트남 다음으로 중국산 철강재를 많이 수입했다.

특히 중국산 철강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자 미국이 최근 무역법 301조에 따라 중국산 철강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현행 7.5%에서 25%로 인상하기로 하면서 한국 업체들에 불똥이 튀었다. 미국 대신 한국으로 유입되는 철강도 그만큼 늘어 부담이 되고 있는 것이다.

엔저를 등에 업은 일본산 철강도 국내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수입한 일본산 철강재는 561만t으로 1년 전보다 3.1% 증가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정부는 국내 철강산업에 영향을 미칠 통상 이슈에 대해서는 주요국과 대화를 통해 적극 대응하고 중장기적으로 외국 철강사들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