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유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 2.7%... 한국은 2.2%”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4 세계 경제 상황·전망 업데이트’ 보고서
1월 예상보다 세계 0.3%p ↑, 한국은 0.2%p ↓
한국일보

미국 뉴욕에 위치한 유엔본부 건물.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엔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7%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4개월 전의 2.4%보다 0.3%포인트 올린 것이다. 반면 한국 경제성장률은 종전 2.4%에서 2.2%로, 오히려 0.2%포인트 낮춰 잡았다.

16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유엔 경제사회국(DESA)은 이날 공개한 ‘2024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중간 업데이트’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미국과 브라질·인도·러시아 등 주요 신흥국의 상황 개선을 반영해 지난 1월 보고서 내용을 수정·보완했다고 DESA는 설명했다. 이러한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며, 2020년 코로나19 사태 시작 전의 3%보다는 약간 낮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3%로, 1월 예상(1.4%)보다 0.9%포인트 높아졌다. 일자리 증가와 실질 임금 상승이 이어지고, 중산층 이상 가계의 자금 사정도 호전돼 소비가 지탱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중국은 4.8%로, 넉 달 전(4.7%) 대비 0.1%포인트 상향됐다. 지난해 성장이 거의 정체된 유럽연합(EU)과 영국의 경우, 올해 다소 나아질 것으로 점쳐졌다.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2.2%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보고서는 “한국은행이 불확실한 인플레이션 전망 때문에 통화 완화 정책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집트와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의 성장률도 연초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낮은 3.3%로 하향 조정했다.

DESA는 세계 경제 위험 요인으로 △고금리 장기화 △부채 부담 △지정학적 긴장 지속 △세계 최빈국·군소 도서국의 기후 위기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주요 국가가 실업 상승 또는 경기침체 유발 없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긴 했어도 낙관적 전망을 하기에는 조심스럽다”고 덧붙였다. 인공지능(AI) 등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세계 경제에 새로운 기회이자 위험이라고 짚었다. 생산성 확대, 기술 격차 확대, 노동시장 재편 가능성 등이 함께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중순, 올해 및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모두 3.2%로 제시했다. 이달 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올해를 3.1%, 내년은 3.2%일 것으로 각각 전망했다.

김정우 기자 wookim@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