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참이슬 내용물서 경유 검출 안돼"…하이트진로 "제조 공정 살필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식약처 검사…제품 겉면서만 성분 검출

유통·보관 중 기압차로 유입 가능성

응고물 신고 맥주는 124만캔 회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경유 냄새가 난다는 신고가 접수된 하이트진로의 소주 '참이슬 후레쉬'에 대해 경유 등 다른 물질이 제조 과정 중 혼입됐을 개연성은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17일 밝혔다. 하이트진로는 생산 공정 전반을 재점검하겠다며 소비자에게 사과했다.

아시아경제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참이슬을 구매하는 시민[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식약처가 신고된 제품을 수거해 성분을 검사한 결과 소주 내용물에서는 경유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고 제품 겉면에서만 경유 성분이 검출됐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소주병과 뚜껑의 재질 차이로 완전한 병 밀봉이 어렵다며 유통·보관 중 온도 변화에 의한 기압 차이가 발생할 경우 외부의 경유 성분이 기화해 뚜껑 틈새로 미량 유입됐을 개연성이 있다고 분석했다고 식약처는 전했다. 또 신고된 참이슬 후레쉬와 같은 날짜에 생산한 다른 제품을 수거하고 검사한 결과 모두 기준·규격에 부합했다.

식약처는 최근 식품 제조공정이 자동화되고 배관 설비 등이 많아져 세척과 소독 공정의 중요성이 커졌다며 식품 제조가공업체의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하이트진로 측은 "이번 일을 계기로 더 완벽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전 공정의 모든 과정을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면서 "소비자에게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전했다.

한편 식약처는 응고물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된 맥주 제품 '필라이트 후레쉬'와 관련해서는 하이트진로 강원 공장 등을 조사한 결과 술을 용기(캔)에 넣어 밀봉하는 주입기에 대한 세척·소독 관리가 미흡한 점이 드러났다고 전했다. 원래 주입기를 세척·소독할 때는 세척제와 살균제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데 지난 3월 13일, 3월 25일, 4월 3일, 4월 17일 등 4개 날에는 살균제가 소진돼 세척제로만 주입기를 관리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주류 주입기가 젖산균(페디오코커스 담노서스)에 오염됐고, 젖산균이 제품에 이행되면서 유통과정 중 탄수화물, 단백질과 결합해 제품 내 응고물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젖산균의 일종인 페디오코커스 담노서스는 구형의 통성 혐기성 세균으로 와인과 맥주에서 종종 발견된다고 한다. 페디오코커스 담노서스가 인체에 유해하다는 근거 자료는 현재까지 없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또 응고물이 발생한 제품과 같은 날짜에 생산된 제품을 수거해 식중독균 등과 관련한 기준·규격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적합 판정됐다고 전했다.

하이트진로는 필라이트 후레쉬 124만캔을 회수할 계획이다. 전날 기준 118만캔이 회수됐고 품질 이상 제품에 대해 식약처에 추가로 신고된 사례는 없다. 식약처는 세척·소독 관리에 소홀했던 하이트진로 강원 공장에 대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행정 처분할 예정이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