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스라엘 국방 “종전 후 가자 통치 안 돼”… 네타냐후 작심 비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팔레스타인 직접 통치해야” 압박
네타냐후 “하마스 섬멸부터” 일축


서울신문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피란민이 모인 라파 지역에서 대대적인 공세에 나선 후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제거 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직접 통치해야 한다’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주장을 공개적으로 저격했다. ‘전시 내각의 해묵은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는 분석과 함께 ‘네타냐후 총리의 리더십에 대한 군의 반발이 커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15일(현지시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은 갈란트 장관이 이스라엘 수도 텔아비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가자지구 전쟁이 끝난 뒤 팔레스타인 영토에 대한 이스라엘 통치를 반대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그는 “네타냐후 총리에게 ‘전후 가자지구에서 하마스를 대신할 통치 세력을 찾아야 한다’고 여러 차례 요청했으나 이제껏 어떠한 답도 듣지 못했다”면서 “(네타냐후 총리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직접 통치하지 않을 것이며 팔레스타인 세력이 이끌도록 하겠다고 선언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스라엘은 1967년 3차 중동전쟁에서 승리한 뒤 가자지구를 점령했다. ‘팔레스타인에 영토를 돌려주라’는 국제사회의 비판이 커지자 2005년 군대와 정착민을 철수시킨 뒤 봉쇄 정책을 펼치고 있다.

그의 발언은 이스라엘군이 라파에 이어 가자지구 북부로 재진입해 하마스의 게릴라 작전에 휘말린 상황에서 나왔다. 최근 이스라엘 언론은 “정부가 전후 계획을 제대로 세우지 않아 군이 끝없는 군사행동에 동원되자 장교들의 불만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참다못한 갈란트 장관이 공개 석상에서 네타냐후 총리를 작심 비판한 것이다. 전시 내각 의결권은 네타냐후 총리와 그의 정치적 라이벌인 베니 간츠 국민통합당 대표, 갈란트 장관 3인이 갖고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하마스가 패배하기 전까지 가자지구 전후 계획을 논의하는 것은 무의미하다”며 갈란트 장관의 요구를 일축했다.

미국은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재점령은 안 된다고 확인하고 전쟁이 끝난 뒤 미군을 포함하지 않는 다국적 평화유지군을 가자지구에 파견하는 방안을 중동 국가들에 제안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이날 타전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다수 국가는 미국의 제안을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류지영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