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IPTV, 가입증가율 첫 0%대…OTT 코드커팅에 '먹구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유료방송 반기별 가입자 증감률/그래픽=윤선정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IPTV(인터넷TV)의 반기 가입자 증가율이 처음으로 0%대에 진입하면서 통신업계의 고심은 점차 깊어질 전망이다.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가 '코드 커팅(Cord-cutting·TV상품해지)' 현상을 가속하는 반면, 뚜렷한 돌파구는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지난해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시장점유율을 공표하면서 IPTV의 직전 분기 대비 가입자 증가율이 0.5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2020~2021년 3~4%대를 유지하다 2022년 상반기 2.61%, 하반기 1.79%로 떨어졌고 지난해 상반기 1.21%로 재차 내려앉았다. 그러고 지난해 하반기에는 1% 선마저 무너졌다. 이 추세대로라면 IPTV 가입자는 이르면 올 상반기나 하반기에 순 감소세로 접어들 전망이다. 나머지 유료방송 매체인 케이블TV·위성방송은 이미 2021년 하반기부터 나란히 매 반기 0.7~2%대 가입자 감소를 기록하고 있었다. 유료방송 전체 가입자는 그간 IPTV가 홀로 증가를 견인했다가 이 마저도 이번 통계부터 순 감소세로 돌아섰다.

IPTV의 성장세 둔화 원인과 위험요소로는 국내외 OTT의 시장잠식이 꼽힌다. 과기정통부의 '2023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이용자 4775만여명은 82.3%가 OTT를 매일 시청한다고 답했고 이들의 주간 평균 OTT 시청시간은 6.9시간에 달했다. 이는 같은 해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여가활동조사에서 나타난 평균 평일 여가 3.6시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수준이다. OTT는 구독자 확대에 이어 광고시청형 요금제로 광고시장 확보도 시도하고 있다. 국내 OTT 티빙은 이미 전체 가입자의 20%가 월 5500원의 광고시청형 요금제를 선택했다고 지난 9일 밝혔다.

블록버스터급 콘텐츠에 막대한 예산을 쏟는 OTT와 달리 IPTV는 금전적 '지원사격'을 기대하기 어렵다. IPTV의 운영주체인 국내 통신사들은 2020년대 들어 AI(인공지능)를 비롯한 통신 관련 신사업으로 주요 투자처를 전환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IPTV 3사(SK브로드밴드·KT·LG유플러스)에 7년 재허가를 결정할 때 직접 투자 정체 문제를 지적하며 '매년 우수 콘텐츠에 대한 투자실적을 제출하라'는 조건을 달았다.

관계부처와 학계에선 OTT의 약진으로 기존 방송 시청환경이 변화하는 데 대해 우려한다. 지난 3월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자료에 따르면 OTT는 유료방송·방송광고 시장과 더불어 방송채널거래·방송프로그램거래 시장에도 영향을 줬고, 외주제작사·지상파·PP(방송채널사용사업자)간 시장에선 OTT의 등장으로 제작단가는 상승하면서도 전반적인 제작수요는 위축되고 있다. 이날 한국방송학회가 주최한 '지속 가능한 유료방송 생태계 조성방안' 세미나에서 하주석 인하대 교수는 "수년 안에 국내 채널·유료방송 사업의 쇠퇴 가능성이 높고, 방송산업 생태계가 붕괴할 우려가 있다"며 "실시간 방송생태계를 보호·육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방송 소유·투자 규제를 완화해 IPTV를 비롯한 유료방송 업계의 쇠퇴를 해소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기대효과는 예측하기 어렵고 제도 추진도 험로가 예상된다. 국무총리 자문기구가 지난 3월 내놓은 '미디어·콘텐츠 산업융합 발전방안'에는 외국인 등의 유료방송 지분 소유제한과 재허가·재승인 제도, 각종 광고 등을 폐지·완화하는 내용이 담겼지만, 상당 수는 법률개정이 필요한 데다 야권에선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국회의 한 보좌진은 "지상파 3사의 지배구조를 둘러싼 '방송 3법'을 두고 여야가 충돌 중인 만큼, 다른 법 개정은 상당 기간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성시호 기자 shsung@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