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국방과 무기

한국 F-35A, 세계 최강 미 F-22 ‘랩터’와 치열한 근접 공중전 펼쳤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세계 최강의 미국 전략 자산 중 최고로 손꼽히는 F-22랩터 스텔스 전투기가 15일 한반도에 전개됐다. F-22랩터는 이날 전북 군산 미 공군기지 주변 서해 상공에서 힘차게 기동하며 작전을 수행했다.프리랜서 김성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 공군의 F-35A ‘프리덤 나이트(Freedom Knight)’와 세계 최강 스텔스 전투기인 미 공군의 F-22 ‘랩터’가 16일 한반도 상공에서 근접 공중전을 펼쳤다.

한미 공군은 이날 “한국 공군의 F-35A 2대와 미 공군의 F-22 2대가 중부지역 상공에서 5세대 전투기 연합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우리 공군 F-35A가 미 F-22와 기본전투기동 훈련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국 공군은 이날 5세대 전투기 간 근접 공중전투기동훈련을 통해 상호 기동성능을 확인하고 최신 전술을 공유하며, 연합 공중작전 수행능력을 한층 끌어올렸다.

훈련은 F-35A와 F-22가 공격과 방어를 번갈아 수행하는 방식으로 실시됐다.

공군은 “양국 전투기들은 서로 기체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할 정도의 근접거리에서 치열한 공중전을 펼치며 최상의 기동성능을 발휘했다”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우리 공군에 실전 배치된 5세대 최신예 F-35A 스텔스 전투기 편대가 지난 4월 18일 훈련을 마치고 충북 청주 공군기지에 착륙하기위해 선회비행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훈련에 참여했던 F-35A 조종사 권기수(32) 소령은 “이(異)기종 5세대 전투기 간 근접전투기동훈련을 통해 양국의 전술 노하우를 교류할 수 있었다”며 “적의 어떠한 도발에도 즉각적이고 강력히, 끝까지 응징할 수 있는 철통 같은 방위태세를 한층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주한 미 7공군에 따르면 지난 13일 제19 및 제199 원정전투비행단 소속 F-22 랩터 전투기 4대가 전북 군산 공군기지에 착륙했다. 미 태평양공군 하와이 진주만-히캄 기지에 배치돼 있던 전력이다.

이에 대해 미 공군은 “F-22가 7공군 전력과의 통합 훈련을 위해 군산 공군기지로 배치됐다”며 “한반도에서 ‘파이트 투나잇’(Fight Tonight·오늘 밤 당장 싸울 수 있다) 대비 태세를 유지하며, 한미 동맹에 대한 어떠한 위협에도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지난 2017년 12월 2일 오후 광주 공군 제1전투비행단 인근 하늘에서 미군의 F-22 랩터 전투기가 편대비행하며 접근하고 있다. 스텔스 성능이 뛰어난 F-22는 적 레이더망을 뚫고 들어가 핵심 시설을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고, 최고속력은 마하 2.5를 넘는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공군은 17일부터 24일까지 청주 제17전투비행단에서 2024 전반기 ‘소링 이글’(Soaring Eagle) 훈련을 실시한다.

‘소링 이글’은 2008년부터 한국 공군 단독으로 연 1∼2회 실시돼 왔다. 남북대화 분위기를 고려해 2018년 이후 비공개로 진행됐지만 2022년부터는 다시 훈련이 공개되고 있다.

공중전투사령부 주관으로 열리는 이번 훈련에는 F-35A, F-15K 등 60여대의 항공전력이 참여한다. 적 전투기·무인기 침투, 순항미사일 발사 등에 대응하는 방어제공훈련, 도발 징후를 파악한 뒤 적의 이동식 발사대(TEL) 등 도발 원점을 사전에 파괴하는 항공차단훈련 등이 시행된다.

공군작전사령부 우주작전대대도 이번 훈련에 처음 참여한다. 이들은 적 전자기 간섭을 감시하고 적 전파 교란 장치의 위치를 공유하며 아군의 임무 완수를 지원한다.

조문규 기자 chom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