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태양 가장자리에서 치솟은 지구 크기의 홍염 [우주를 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지구 하나쯤은 너끈히 집어삼킬 정도로 거대한 태양 홍염.(사진/ Sebastian Voltme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오로라를 생성한 태양의 거대 활동 지역의 모습이 만약 태양 가장자리에 있을 때 본다면 어떤 모습일까? 이 절묘한 타이밍의 광경을 잘 포착한 사진이 NASA가 운영하는 ‘오늘의 천체사진(APOD)’ 15일자에 발표되었다. ​

태양 가장자리에서 잡은 AR 3664는 3D 구조를 더 잘 보여주었다. 사진에는 혼돈스러운 흑점 지역 AR 3664에서 우주로 뻗어나가는 거대한 태양 홍염 갈래가 포착되었는데, 이는 폭력적인 태양 지역에서 분출된 입자 구름의 한 본보기일 뿐이다. 이 우주로 확장된 홍염 기둥은 지구 하나쯤은 너끈히 집어삼킬 정도로 거대하다. ​

위 사진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이 활동 지역을 이틀 전에 촬영한 것이다. 지난 10일 흑점 AR3664에서 최근 20년 만에 가장 강력한 태양폭발로 인한 태양 플레어가 방출되었는데, 상위 X5.8등급으로 분류된 폭발이었다. 그 플레어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지구 대기권에 빠르게 도달하여 북미와 남미 전역에 걸쳐 단파 무선 정전을 일으켰으며, 지구촌 고위도 지방 곳곳에 오로라를 발생시켰다. ​
서울신문

12일 새벽 강원도 화천에서 용인어린이천문대 소속 심형섭씨가 촬영한 오로라.(제공/한국천문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흑점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태양 플레어는 태양 표면에서 일어나는 폭발현상으로, 갑작스러운 에너지 방출에 의해 다량의 물질이 우주공간으로 고속 분출되는 것으로, 코로나 질량 방출(CME)이라고 불린다.​

지금은 지구에서 약간 멀어지도록 태양 표면에서 회전했지만, AR 3664와 그에 따른 코로나 질량 방출의 입자는 여전히 내부 태양계를 가로지르는 휘어진 자기장 선을 따라 극지방에서 더 많은 오로라를 생성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2일 이번 태양 폭발로 인한 오로라가 드물게도 우리나라 강원 화천, 철원 등지에서 목격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14일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에 따르면 지난 12일 새벽 강원 화천, 철원 등에서 아마추어 전문가들이 잇따라 오로라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이광식 과학 칼럼니스트 joand999@naver.com ​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