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뉴칼레도니아 유혈 소요사태···프랑스 국가비상사태 선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프랑스 선거법 개정에 원주민들 분노해

4명 사망에 수백명 부상···상점·학교도 불타

마크롱 "용납할 수 없는 폭력" 비상사태 선포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태평양의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프랑스명 누벨칼레도니)에서 4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다치는 대규모 소요 사태가 벌어지면서 15일(현지시간) 프랑스가 최고 12일 간의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외신 등에 따르면 비상사태 선포는 뉴칼레도니아 시간으로 16일 새벽 5시 발효됐다. 프랑스가 본토 밖 프랑스령에 대한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은 1985년 뉴칼레도니아를 대상으로 한 것이 마지막이었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소요 사태가 격화하자 이날 노르망디 방문 계획을 취소하고 긴급 안보 회의를 주재해 비상사태 선포 안건의 내각회의 상정을 요청했다. 그는 이번 사태에 “용납할 수 없는 폭력”이라고도 말했다.

국가 비상사태가 선포되면 집회와 이동이 제한되고 가택 연금이나 수색에 대한 당국의 권한이 확대된다. 외신 등에 따르면 가브리엘 아탈 총리가 내무부에 설치된 위기대책본부를 이끌고 이행을 점검할 예정이다. 프리스카 테브노 정부 대변인은 경찰과 헌병 등 약 1800명을 동원했고, 500명을 추가로 투입할 예정이라며 "질서와 안정, 평화가 우선순위"라고 말했다.

뉴칼레도니아에서는 13일 밤부터 선거법 개정과 관련한 유혈 소요 사태가 이어지는 중이다. 프랑스가 뉴칼레도니아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 지방선거 투표권을 주는 유권자 확대 방안을 추진한 것이 불씨가 됐다. 지역 원주민인 카나크족은 이 정책이 원주민의 입지를 좁히고 친프랑스 정치인에 유리한 정책이라고 크게 반발하며 거리로 나섰다. 시위는 점차 폭력을 동원한 소요 사태로 이어졌고 상점 약탈과 학교를 포함한 공공건물에 대한 방화 등으로도 번졌다. 수도 등 주요 도시에서는 민간 방위그룹과 시위자 간의 총격 보고가 여러 건 있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이번 소요 사태로 전날까지 카나크족 3명이 숨졌고 이날 프랑스 헌병 1명이 숨져 사망자가 4명으로 늘어났다. 제랄드 다르마냉 내무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누벨칼레도니에서 총에 맞아 중상을 입었던 기동 헌병이 사망했다. 그 무엇도 절대로 폭력을 정당화하지 못한다. 공공질서는 회복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르마냉 장관은 이날 오전 기준 경찰과 헌병대 100명을 포함해 수백명이 다쳤다고도 말했다.

한편 프랑스는 1853년 뉴칼레도니아를 점령해 죄수 유배지로 사용했다. 1988년 마티뇽 협정과 1998년 누메아 협정을 통해 상당 부분 자치권을 이양했고 2018년과 2020년, 2022년 3차례 독립 찬반 주민투표도 실시됐지만 반대표가 많아 여전히 프랑스령인 상태다. 다만 카나크족은 뉴칼레도니아의 분리·독립을 지지한다. 뉴칼레도니아는 세계 3위 니켈 생산지역이나 이 분야 산업이 타격을 받으면서 5명 중 1명꼴로 빈곤선 아래에 살고 있다.

김경미 기자 kmki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