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남태평양 프랑스 식민지 누벨칼레도니에 비상사태 선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독립요구 거세지만 3차례 국민투표에서 부결

프랑스 시민 투표권 확대 개헌이 유혈 시위 촉발

수도 누메아 통행금지, 학교 폐쇄, 모든 항공편 취소

뉴시스

[누메아=AP/뉴시스]지난 2021년 12월 남태평양의 프랑스 식민지 누벨칼레도니의 수도 누메아에서 경비를 서고 있는 프랑스군 헌병들 모습. 15일(현지시각) 누벨칼레도니에서 폭력 시위가 발생해 4명이 숨지자 프랑스 정부가 비상사태를 선포했다.2024.5.16.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남태평양의 프랑스 식민지 누벨칼레도니(영어명 뉴칼레도니아)에서 유혈 시위가 벌어지면서 프랑스 정부가 15일(현지시각) 비상사태를 선포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누벨칼레도니 지방선거 투표권을 현지 거주 프랑스 시민권자로 확대하는 내용의 개헌안이 프랑스 의회에서 통과된 것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지면서 지난 14일 밤 4명이 숨졌다.

가브리엘 아탈 프랑스 총리는 이날 의회에서 “현지의 질서를 회복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프랑스 정부는 현지에 1800명의 경찰이 투입돼 있으며 24시간 내에 500명이 추가로 투입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탈 총리는 군대가 항구와 공항을 장악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지 프랑스 당국에 따르면 시위대가 민간 건물과 학교 등 공공건물 여러 채에 불을 질렀으며 수백 명이 부상했고 130여 명이 체포됐다.

비상사태 선포에 따라 앞으로 12일 동안 당국은 사전 법적 절차를 밟지 않고 통행 제한과 체포, 시위 금지를 할 수 있게 됐다. 수도 누메아에 통행금지가 선포됐고 누메아 국제공항 모든 항공편이 취소됐으며 학교도 모두 문을 닫았다.

인구 27만 명의 누벨칼레도니는 1853년 프랑스 식민지가 됐다. 프랑스 정부가 의도적으로 백인을 이주시키면서 현재 카나크 원주민 비율은 전 인구의 40%에 불과한 상태며 유럽 출신 주민 비율이 25%에 달한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독립 요구가 지속되면서 긴장이 고조돼 왔다. 1980년대에는 폭력 시위로 인해 수십 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2018년 이래 세 차례 국민투표가 있었으나 모두 독립이 거부됐다.

프랑스 시민에 투표권을 확대하는 내용의 개헌이 이번 폭력 사태를 촉발했다. 1998년 현재 등록된 유권자들에게만 투표권을 부여하도록 한 2007년 이래의 규정을 현지 거주 10년 이상의 프랑스 시민에게도 확대하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유권자수가 2만~2만5000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누벨칼레도니는 프랑스의 인도태평양 지역 거점으로 프랑스 당국자들은 니켈 등 지하자원이 풍부한 누벨칼레도니가 독립하면 빠르게 중국 영향권에 편입될 것으로 경고해왔다.

프랑스 정부는 현지 긴장 고조를 완화하기 위해 개정 헌법 조항을 발효를 6월말까지로 늦추고 독립 찬반 진영이 합의하도록 촉구했다.

독립 운동을 지지해온 카나크 사회주의 민족해방전선(FLNKS)은 15일 개헌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으나 폭력 사태를 멈추도록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jkang1@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