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 시내 한 라인프렌즈 매장 모습. 2024.05.13./사진제공=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자본구조 재검토 요구에 우리 정부가 '네이버에 불리한 조치는 없어야 한다'고 응수하며 사태가 장기화 국면에 돌입했다. 특히 일본 측이 못 박은 '7월1일'에 끌려다닐 수 없다는 게 우리 정부와 네이버의 공통된 인식이다. 당분간 시간을 번 네이버는 차분하게 지분 매각의 실익을 따져볼 수 있게 됐다.
15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라인야후가 7월1일까지 일본 총무성에 제출할 2차 조치 보고서에는 네이버 지분 매각 관련 내용이 제외된다. 보고서는 지난해 11월 개인정보 유출 사고 관련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에 대한 응답이다. 라인야후는 지난 4월 1차 보고서를 제출했으며, 일본 총무성의 추가 행정지도에 따른 보고서를 7월1일까지 내야 한다. 행정지도의 핵심은 자본구조 재검토, 정보보호 조치 강화 등 2가지다.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가 라인야후 지주사(A홀딩스) 지분을 절반씩 보유한 가운데 네이버 지분을 줄여야 한다는 게 자본구조 재검토의 골자다. 그러나 지분 매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데 네이버와 우리 정부가 공감대를 이뤘고, 2차 보고서도 1차와 마찬가지로 정보보안 대책이 중심이 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우리 정부가 라인야후 사태에 적극적으로 입장을 내면서 네이버에 시간을 벌어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전날 "(2차 보고서에) 적절한 정보보안 강화 대책이 제출되는 경우 일본 정부가 자본구조와 관련해 네이버 의사에 배치되는 불리한 조치를 취하는 일이 절대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네이버는 당분간 일본 정부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시스템 분리 등 라인의 보안성 강화에 주력할 전망이다.
라인야후 지분구조/그래픽=조수아 |
네이버의 지분매각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네이버는 이전부터 철저하게 기업 이익 관점에서 지분 매각 가능성을 고민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라인야후가 네이버의 해외사업 전초기지인 점도 고민이 길어질 이유다. 라인야후는 일본을 제외하고도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1억명 가까운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 입장에서는 적절한 가격에 라인야후 지분을 매각하더라도 일본 외 국가에서의 사업권은 쉽게 포기할 수 없다.
소프트뱅크도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CEO(최고경영자)는 지난 9일 "네이버와의 협상은 오래 걸릴지도 모른다"며 "7월1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밝혔다. 소프트뱅크의 자금력도 변수다. 최근 투자 성과가 좋지 않았던 만큼, 최소 10조원대의 시장 적정가를 네이버 지분 인수에만 쏟아붓기는 부담스럽다. 특히 일본 정부의 압박만 아니라면 소프트뱅크가 지분 인수 협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해석도 나온다. 기존에도 라인야후의 재무적 성과는 소프트뱅크에 긍정적 지표로 기여해 온 만큼, 기술·자본 측면에서 네이버와의 파트너십을 유지하는 게 낫다는 취지다. 한편 외신 보도에 따르면 마쓰모토 다케아키 일본 총무상은 지난 14일 "라인야후에 대한 행정지도의 목적에는 지배적 자본관계도 포함해 과제가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의 지분매각 논의를 재차 압박한 언급이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 정부와 네이버가 팀을 이뤄 소프트뱅크와 일본 정부에 대응하는 형국이 됐다"며 "지금처럼 정부가 일본의 압박을 적절한 수준으로 대응해 준다면, 지분구조 협상은 워낙 복잡한 만큼 해를 넘길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정현 기자 goroni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