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블룸버그 "中, 정부가 미분양 주택 매입하는 방안 고려…과잉 재고 해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방 정부가 국유 은행 대출 받아 경영난 부동산업체들로부터 주택 매입

아직 논의 초기 단계

최소한 200조~400조원 자금 필요 전망

실행되더라도 부채 문제 악화 가능성

아주경제

사진=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지방 정부들로 하여금 미분양 주택을 구매하게끔 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소식통들을 인용해 15일 보도했다. 중국 경제의 주축인 부동산 시장이 좀처럼 부진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직접 나서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는 고강도 처방까지 준비하고 있는 모습이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초기 계획에 대해 일부 지방 정부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지방 정부 산하 기업들이 국유 은행 대출을 받아 경영난에 처한 부동산 개발업체들로부터 대폭 할인된 가격에 미분양 주택들을 매입한 후, 차후에 적정 가격 수준의 주택으로 다시 시장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해당 계획은 아직 초기 방안으로, 최종 계획이 결정되기까지는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금까지 과잉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프로그램을 시도했지만, 이번 방안은 규모 면에서 앞선 정책들보다 훨씬 큰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계획이 실행될 경우, 중국의 부동산 정책이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는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싱가포르계 증권사 CGS증권의 중국 부동산 리서치 책임자 레이먼드 청은 이 같은 내용에 대해 "부동산 개발업체들에 직접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하고 그들의 재무 상황을 개선시키는 동시에, 즉각적으로 주택 과잉 재고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같은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조~2조 위안(약 190조~380조)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중국은 올해 1~4월 주택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47%나 급감하고, 미분양 주택 재고가 8년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좀처럼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021년 시작된 헝다 사태에 이어 작년 비구이위안 사태까지 겹친 데다, 경기 부진까지 더해지면서 중국 부동산업계를 짓누르고 있다. 이로 인해 약 500만명의 중국인들이 실직 및 수입 감소의 위험에 처한 상태이다.

이 와중에 지난달 3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주재로 열린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에서는 주택 재고를 '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발표하면서, 새로운 부동산 대책에 대한 기대감이 제기됐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실제로 지방 정부들로 하여금 미분양 주택을 구매하게 하더라도 부동산 문제는 단기간 내 해결이 어렵고, 더욱이 중국 부채 문제가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실제로 중국 현지 증권사 톈펑증권 분석에 따르면 현재 중국 미분양 주택 면적은 총 36억 평방피트로 201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이를 18개월 내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7조 위안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올해 중국 예산 적자의 78%를 차지한다.

한편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이날 중국증시에서 부동산업종은 2% 이상 상승했다.
아주경제=장성원 국제경제팀 팀장 sotg813@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