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9 (일)

유인촌 장관 "광화문 현판 한글화·국악원 경복궁 이전 논의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세종대왕 탄신 627돌을 맞아 광화문 현판 한글화, 국립국악원 고궁 이전과 관련한 논의 의지를 드러냈다.

유인촌 장관은 14일 경복궁 수정전에서 열린 '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행사'에 참석해 축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자리엔 김주원 한글학회장, 이찬규 국어학회장, 김덕호 국어문화원연합회장, 김영운 국립국악원장, 최홍식 세종대왕기념사업회장, 장소원 국립국어원장 등 관계자들과 세종학당 유학생 등 350여 명이 참석했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4일 오후 서울 경복궁 수정전에서 열린 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행사인 '세종 이도 탄신 하례연'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4.05.14 leemario@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유 장관은 "예전에 여주 왕릉에 가서 탄신일에 종묘제례악과 함께 인사를 드렸던 기억이 있는데 오늘은 능이 아니고 직접 세종대왕이 오랫동안 일을 하셨던 장소에서 특히나 오늘 국악원에서 인공지능으로 복원을 했다고 치더라도 과거의 음악을 들을 수 있어 세종대왕의 그 모습을 마치 이렇게 느껴지는 것처럼, 마치 앞에 계시는 것처럼 만져질 것처럼 느껴졌다"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까지 감동적일 거라고 생각 못했다. 막상 앉아있으니 그 감동이 훨씬 더 크다"고 깊은 감동을 전했다.

또 축사를 통해 "이 자리에 오면서 훈민정음의 서문을 다시 한 번 읽어봤다"면서 "애민 정신은 세종대왕의 상징이다. 많은 국민들이 오늘날에도 세종대왕을 위대한 임금으로 존경하고 추앙하는 이유는 그가 한 모든 업적이 백성을 향한 진심 어린 사랑과 측은지심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세종대왕의 백성을 보듬는 마음은 자식을 향한 부모의 마음과도 같았다. 그중에서도 한글 창제는 해민 정신의 정점이자 위대한 발명품"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국립국악원 정악단이 14일 오후 서울 경복궁 수정전에서 열린 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행사 '세종 이도 탄신 하례연'에서 세종이 직접 작곡한 여민락을 선보이고 있다. 2024.05.14 leemario@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 장관은 세종대왕의 업적을 언급하며 "무엇보다 시대가 자신에게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있던 왕"이라며 "젊은 세종에게 권력은 영달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태평성대를 이루어 더욱 강하고 안정된 나라에서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아가기를 꿈꾸었고, 오직 그 꿈을 위해 힘을 행사한 왕"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세종이 꿈꾸었던 생생지락의 세상, 나도 살고 남도 살리는 기쁨을 깊이 되새기고 실천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정부도 세종대왕의 창조 정신이 과거에 머물지 않고 현재에 살아 숨쉬며 미래를 밝게 비추는 등불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국립국악원 정악단이 14일 오후 서울 경복궁 수정전에서 열린 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행사 '세종 이도 탄신 하례연'에서 세종이 직접 작곡한 여민락을 선보이고 있다. 2024.05.14 leemario@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축사에 이어 유인촌 장관은 직접 느끼고 생각한 세종대왕과 한글 관련 이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유 장관은 "한글 학회장님과 많은 학자 여러분들이 말씀하셨듯 경복궁 정문에 광화문이 왜 한글로 써지지 않았는지, 짧은 시간이지만 그래도 열띤 토론을 했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당연히 한글로 써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증과 그 옛날의 현판을 그대로 재현해야 한다는 문화재 전문위원들의 의견이 받아들여져 그렇게 됐지만 오늘 이후로 다시 한 번 불을 지펴보겠다"고 광화문 현판 한글화 논의 의지를 드러냈다.

광화문 현판은 지난 2023년 10월 월대와 함께 복원되면서 검은 바탕에 금색 글씨로 한자로 쓰인 지금의 형태로 복원됐다. 이 현판은 1968년 광화문 복원 시 별다른 고증없이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로 쓰인 한글 버전이 유지되다가 한자로 교체됐다. 한글 관련 단체에서는 이와 관련해 한글 현판을 걸어야 한다는 의견을 지속적으로 낸 바 있다.

또 "우리 조선 시대 500년 역사 가운데 가장 태평성대를 이루었던 세종시대로 복원했으면 좋겠다는 말씀에 100% 동감한다. 그 의견도 그대로 전하도록 하겠다. 다시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국립국악원 무용단이 14일 오후 서울 경복궁 수정전에서 열린 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행사 '세종 이도 탄신 하례연'에서 세종이 직접 작곡한 여민락에 맞춰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4.05.14 leemario@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국립국악원 정악단, 무용단의 연주와 공연도 이어졌다.

유 장관은 이를 관람한 뒤 "우리에게 맞지 않는 서양식 극장에서 우리 궁중음악, 무용, 정악을 할 때 느끼는 감동보다 이 자리에서 하는 우리 본래의 궁중음악을 들으니 감동이 있다"면서 "여기가 바로 여러분들 자리다. 이사하자. 여러분이 원한다면 의논하겠다. 다시 정악원을 만들든 지 경복궁에 있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의견을 밝혔다.

jyyang@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