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똑같은 고기, 다른 리뷰글?'…'비계 논란' 제주 삼겹살집, 또 논란[이슈세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 이슈를 세개만 콕!
1. 일본 기자의 "다케시마에 왜 가느냐" 질문에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의 대처가 화제입니다.
2. 비계 삼겹살 논란이 있었던 제주의 한 식당이 이번엔 '리뷰 복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3. 정부가 나서서 배달앱의 '무료 배달 경쟁'을 막아 달라는 국민청원이 등장했습니다.

"다케시마 왜 갑니까?" 日기자에 조국 "누구신지?"

노컷뉴스

일본 매체 FNN 유튜브 영상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케시마에 왜 가느냐"고 질문한 일본 언론사에 대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의 대처가 화제다.

13일 일본 현지 매체 FNN(후지뉴스네트워크)는 '다케시마 상륙 "양파남"을 직격하다…FNN 기자에게 적반하장'이라는 단독 영상을 공개했다.

양파남(タマネギ男)은 최근 일본 언론에서 조국 대표를 지칭하는 별명으로, 자녀 입시 비리와 직권 남용 혐의 등 조 대표에 대한 비리 의혹이 양파껍질처럼 계속 나온다는 의미로 붙여졌다.

영상에서 FNN 기자는 강원 강릉항에서 출항 준비 중인 조 대표에게 다가가 "대표님 안녕하세요. 오늘 왜 다케시마에 갑니까?"라고 묻는다.

이에 조 대표는 "근데 누구시죠? 누구신지…일단 처음 뵙는 분이라서"라고 답한 뒤 자리를 뜬다.

매체는 해당 영상에 "웃는 얼굴이었던 조국 대표가 독도가 아닌 다케시마 표현을 사용하니 표정이 일변했다"고 자막을 덧붙였다.

이날 오후 독도를 찾은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는 '독도성명'을 발표하고 "독도를 자기 땅이라고 주장하는 일본에, 강제징용을 부인하는 일본에, 라인을 빼앗으려는 일본에 분명히 경고하라"고 윤석열 정부를 압박했다.

'똑같은 고기, 다른 리뷰글?'…'비계 논란' 제주 삼겹살집, 또 논란

노컷뉴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비계 삼겹살 논란으로 곤욕을 치른 제주의 한 식당에 대해 이번에는 '리뷰 복제' 논란이 불거졌다.

13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아직도 돈주고 리뷰 장난질하는 제주 흑돼지집'이란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 A씨는 블로거들이 올린 약 20개의 후기글을 첨부하며 "리뷰 작성자는 전부 다른데 모두 같은 불판의 같은 고기 사진이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A씨는 사진에서 고기 잘린 모양이나 배치 등이 같은 것을 지적하며 "사진 각도는 달라도 아시지 않겠냐"고 비판했다.

이어 "한 차례 리뷰 조작을 지적했음에도 여전하다"며 "리뷰 조작을 안 하면 장사가 안 되냐"고 꼬집었다.

이를 접한 누리꾼들은 "리뷰 알바에 애쓰느니 음식을 정직하게 판매하겠다", "직접 가지도 않고 돈 받고 리뷰 써주는 것도 양심 없다", "이건 사기 아니냐" 등의 반응을 보였다.

"솟구치는 배달 수수료 좀 막아주세요" 국민청원 등장

노컷뉴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배달앱의 '무료 배달 경쟁' 여파로 가맹점주 부담이 크게 가중되고 있다는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의 개입을 요청하는 국민청원이 등장했다.

14일 국회 국민동의청원 홈페이지에는 '소상공인 배달 자영업 지원 및 배달비에 관한 청원'이라는 제목의 청원서가 올라와있다.

청원인은 "현재 배달 플랫폼에서는 무료 배달이라 광고해 손님을 끌어모으고, 매장의 판매금액에서 배달료를 다 받아가는 갑질을 하고 있다"며 "즉시 할인, 첫 주문 할인 등 쿠폰과 매장 광고를 위한 수수료도 점주가 따로 지불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런 배달 플랫폼의 갑질을 견딜 수가 없다"고 호소했다.

실제로 배달의민족은 최근 무료 배달 서비스를 위해 '배민1플러스'를 도입했는데 주문 건당 수수료를 매기는 정률제 방식이기에 매출이 커질수록 배민에 지급하는 수수료도 비례해 늘어난다. 중개료와 결제 수수료 등을 합산하면 주문요금의 25% ~ 30%를 배달의민족 측에 지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8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울산 치킨집 운영 점주는 "(무료 배달 서비스를 쓰지 않으면) 매출이 확 줄어버려 (정률제를) 어쩔 수 없이 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하며 "결국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는데, 이 부담은 결국 고객한테 고스란히 전가된다"고 안타까워한 바 있다.

이 청원을 두고 자영업자 커뮤니티에서는 "(무료 배달 서비스를) 할 수밖에 없게 만들어놨고 균형이 무너졌는데 정부가 안 나서는 게 신기할 정도다"고 동의가 나오면서도 "그냥 플랫폼 안 쓰면 그만인데 배달앱도 돈벌려면 그래야 하는 것 아닌가" 등의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